X

[사설]이산가족 상봉 정례화 해야

논설 위원I 2014.02.26 07:00:00
남북 이산가족 1. 2차 상봉이 어제 금강산에서 마무리됐다. 2박3일간의 1·2차 상봉에서 남측 이산가족 82명과 북측 88명이 그립던 혈육들을 만나 피눈물을 흘렸다. 이들은 언제 다시 만날지 약속도 못한 채 이별의 슬픔에 또 다시 울어야만 했다. 이들의 상봉과 이별을 바라본 많은 이산가족들도 가슴앓이를 해야만 했다.

남북한이 더 이상 이산가족 상봉을 일회성 이벤트로 진행해선 안 된다. 그 이유는 시간이 없기 때문이다. 북한에 있는 가족을 만나고 싶다고 상봉을 신청한 이산가족 12만9287명 중에서 5만7784명이 사망했다. 지난해에만 3841명이 숨졌다. 생존자 가운데 70세 이상 노인이 80%를 넘는다. 이번처럼 매년 2회씩 이산가족 상봉이 이뤄진다 하더라도 남측 이산가족들이 모두 만남의 기회를 가지려면 수 십 년을 기다려야 한다. 몸이 아파 거동할 수가 없는데도 김섬경(91) 할아버지와 홍신자(84) 할머니가 앰뷸런스까지 타고 금강산에 가족들을 만나러 간 것은 이번이 아니면 기회가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다른 이산가족들도 두 어르신의 심정과 마찬가지이다.

앞으로 이산가족 상봉 문제는 절박함과 긴박성을 감안할 때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 박근혜 대통령이 “이산가족들이 자주 만날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라고 언급했듯이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를 실현해야 한다. 무엇보다 정부는 북한과의 모든 대화에서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를 전제 조건으로 내걸어야 한다. 이산가족 상봉은 가장 시급한 인도주의적인 사안이기 때문이다.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를 위해 필요하다면 북한에 상봉에 드는 자금과 물자 등도 지원할 수 있다는 제의도 해야 한다. 이를 북한에 대한 ‘퍼주기’라고 생각해선 안 된다.

이산가족의 생사 확인, 자유로운 서신 왕래, 명절마다 정례적인 상봉, 원격화상 상봉 등 가능한 모든 방안을 북한에 타진해야 한다. 또 상봉규모와 횟수 확대 등이 어렵다면 최소한 80세 이상 고령자 중심의 특별상봉이라도 성사시켜야 한다. 물론 북한이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를 받아들일 가능성은 낮다. 그렇다 하더라도 북한이 ‘통 큰 마음’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설득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남북이산가족상봉

- 정부 "北, 이산가족 문제해결 협조하길 기대" - '이산가족 상봉 중이지만' 한미 군사훈련 예정대로 실시 - 염수정 추기경, 교황에게 이산가족 위한 기도 당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