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금융이 고령층과 사회적 약자 등 소외계층을 위한 금융서비스는 계속돼야 한다는 원칙에서 수익성뿐만 아니라 공익성을 중시하는 포용적 금융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
은행권 점포 수는 6000개 붕괴에 직면한 것과 달리 상호금융 점포는 7100개를 넘은 상황이다.
상호금융 점포수는 매년 늘었다. 2개가 늘어난 2020년을 제외하면 2018년(53개) 2019년(61개) 지난해(56개) 모두 50개 넘게 증가했다. 같은 기간 은행권이 한해도 빠지지 않고 매년 23~311개 점포를 폐쇄한 것과 다른 양상이다.
상호금융 중 가장 규모가 큰 농협은 이 기간 중 162개 점포가 늘어 상호금융 점포 증가의 94.2%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신협과 산림조합은 각각 점포가 20개, 12개 늘었지만, 수협은 9개가 줄었다. 다만 수협은 지난해 전년대비 점포가 34개 늘었다.
상호금융의 점포 수가 늘어나는 것은 이들 금융기관이 기본적으로 지역 조합원의 상부상조를 위한 기관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상호금융은 지역 조합원의 여유자금을 모아 자금이 필요한 다른 조합원에게 융통하는 방식으로 운영한다. 시중은행처럼 수익성만 따져서 점포를 철수하기 어렵다.
농협 관계자는 “농민 등 조합원이 전국의 읍·면 단위까지 있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 고령자가 많아 모바일과 같은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지 못하다”며 “지역밀착형 서민금융 기능을 하려면 점포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상호금융 이용자는 고령자 비중도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신협의 2020년말 기준 70세 초과 이용자는 13% 내외다.
상호금융 지점은 금융거래 제공만이 아니라 동네 주민에게 ‘교류의 장’ 역할도 한다는 설명이다.
신협 관계자는 “신협 지점을 방문하면 영어교실과 취미강좌를 들을 수 있고 헬스장 등 체육시설도 사용할 수 있어 점포가 사람이 모이는 사랑방 역할도 한다”며 “도서관, 어린이집, 문서센터 등 조합원과 지역주민을 위한 복지사업을 지점에서 다양하게 운영 중”이라고 했다.
상호금융의 최근 호실적은 상호금융이 적극적으로 포용금융을 실천할 수 있는 배경이 된다.
농협, 수협, 신협, 산림조합은 지난해 2조 7413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거둬 전년대비 5642억원(25.9%)을 더 벌었다. 총자산 역시 631조1000억원으로 47조(8%)불어났다. 연체율도 1.17%로 1년새 0.37%포인트 개선됐고 고정이하여신비율도 1.61%로 0.41%포인트 좋아졌다.
금융권 관계자는 “비대면 금융거래 확산, 점포 효율화 추진으로 시중은행 점포 철수가 빨라지면서 고령층 금융 접근성에 공백이 커지는 상황”이라며 “대안이 마땅치 않은 상황에서 상호금융이 일정 부분 공백을 메워주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