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광위 주요 역할 중 하나가 대도시권을 연결하는 교통망을 구축하는 데 있어 지자체 간 갈등을 조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역할이 처음부터 지지를 받았던 것은 아니다. 2019년 3월 대광위 출범 당시 지자체 간 갈등을 조율할 조직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지만 왜 자꾸 조직만 늘리느냐는 의견도 만만치 않았다. 그로 인해 대광위는 3년간 임시조직으로 출발해 그 역할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점검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그간 두 번의 심사를 거쳐 작년 말에야 대광위는 정규조직(2국 7과, 정원 69명)으로 공식화됐다.
2023년 수석대교를 둘러싸고 남양주시와 하남시도 갈등을 빚었다. 남양주시는 왕숙신도시 입주민들의 교통난 해소를 위해 수석대교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하남시는 수석대교를 통해 진입하는 남양주 시민들로 인해 올림픽대교 교통 혼잡이 커질것이라고 반대했다. 대광위는 올림픽대로 강일IC~선동IC 구간을 8차로에서 10차로로 확장하고 미사IC를 신설해 선동IC로 진입하는 교통량을 분산하는 방식으로 대안을 제시했다. 당초 2028년 준공 목표가 2031년으로 미뤄졌지만 갈등 해결에 물꼬는 트인 셈이다.
대광위는 갈등조정위원회를 설립해 갈등 조정의 공정성을 높일 계획이다. 대광위에 갈등조정위원회를 설립하는 ‘대도시권 광역 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 개정안’이 이달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강 위원장은 “지자체 간 갈등이 생기면 대광위 직원들이 투입돼 갈등 조정을 해왔는데 이는 한계가 있다”며 “갈등조정위원회에 안건을 상정하고 위원회에서 조정하는 절차를 거칠 예정”이라고 밝혔다.
대광위는 3량 굴절버스, 트램 등 새로운 교통시설도 확충할 계획이다. 강 위원장은 “연말 대전에 3량 굴절버스(무궤도차량시스템)를 시범 운행하고 내년 위례에 트램을 설치한다”며 “제주도에선 도로 중앙에 섬식 정류장을 설치해 양방향으로 문이 열리는 ‘섬식 BRT’를 5월부터 운행한다. 제주에선 환경오염 우려가 컸는데 도로를 많이 점유하지 않고도 버스 운행이 가능하도록 했다”고 밝혔다.
대광위는 ‘K-마스(MaaS)’로 하나의 앱(슈퍼무브)에서 철도·비행기·버스 등 각종 교통수단을 예약하고 결제까지 가능하도록 하는 서비스도 내놨다. 강 위원장은 “전국적으로 혜택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교통 서비스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대광위는 작년 5월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교통비 일부를 돌려주는 서비스, ‘K-패스’도 내놨다. K-패스 가입자는 올 2월 300만명을 돌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