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용하는 방법도 간편하다. 읽고 싶은 책을 검색해서 클릭하면 도서대여 서비스인 ‘북큐브’로 연동된다.
신세계의 VIP 고객은 볼 수 있는 책이 더 많다. 소장권수는 오디오북을 포함한 3만 여권이고, 어린이 고객들을 위한 오디오북 등도 도입 검토 중이다.
오는 18일까지 신세계가 직접 추천하는 도서 큐레이션 서비스 ‘다독다독(多讀多讀)’도 만날 수 있다. 마치 독서 선생님처럼 요즘 가장 인기 있는 주제인 등산 에세이, 교양 인문학, 밀레니얼 세대를 위한 자기계발 서적 9권을 엄선해 준비했다.
대표 도서로는 신경은의 ‘오늘도, 등산’, 정채봉 ‘첫 마음’, 파올로 코엘료 ‘내가 빛나는 순간’, 알프레드 아드러 ‘다시 일어서는 용기’. 윤혜준 ‘7개 코드로 읽는 유럽도시’, 필리프 비옹뒤리 ‘뉴노멀 교양수업’, 리우난 ‘끌리는 말투 호감 가는말투’, 한승현 ‘이번 생은 N잡러’, 오봉근 ‘메타인지, 생각의 기술’ 등이 있다.
올 4월 처음 선보인 신세계백화점의 신백서재는 누계 접속자 수가 5만 7000명을 넘었다. 지금까지 누적된 도서 대여 수는 총 1만5000여권이다. 하루에 1100명 넘게 접속해서 300권 가량을 빌려본 셈이다.
지금까지 신백서재를 이용한 고객 데이터를 살펴보면 가장 인기 있었던 서적은 인문학과 재테크 분야였다. 제일 많은 대여 수를 자랑한 책은 ‘7개 코드로 읽는 유럽 도시’. 코로나19 이후 해외 여행이 어려워지면서 관련 도서를 통해 갈증을 풀고자 하는 이용객이 많았다.
지친 일상을 위로해주는 산문집도 상위권에 올랐다. ‘하고 싶은 대로 살아도 괜찮아’, ‘하마터면 열심히 살 뻔 했다’ 등 공감 에세이를 찾는 이용객도 많았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 강남, 부산, 대구, 광주 모두 재테크·투자 관련 도서가 1위를 차지했으나 그 다음 순위는 조금씩 차이가 있었다. 서울 강남에서는 두번째 많이 본 책이 성공철학·자기계발 분야였고, 부산과 광주는 에세이 등 산문집이 2위를 기록했다. 대구는 자녀 교육 서적이 재테크 다음으로 인기가 있었다.
신세계는 앞으로 다양한 전자책 이용 데이터를 바탕으로 더 많은 도서와 혜택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강화할 예정이다.
이성환 신세계백화점 영업전략담당 상무는 “다양한 콘텐츠를 선보여온 신세계가 이번에는 업계 처음으로 전자책 대여까지 시도하게 됐다”며 “유통을 뛰어넘어 고객 라이프스타일을 코칭하는 차별화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