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이전으로 돌아간 2금융 연체율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이번주 2금융권 18개사 연체율 점검 등을 실시할 예정이다. 1분기 2금융권 연체율이 크게 오르면서 리스크 대응 강화를 위한 차원이다.
한 2금융권 관계자는 “2분기에도 연체율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점검 차원에서 이뤄지는 것으로 보인다”며 “아직 본격 조사가 시작되진 않았지만 업체들 사이에선 행여나 ‘부실 금융사’로 소문날까 쉬쉬하는 모습”이라고 전했다.
2금융권의 연체율은 은행보다 높은 수준일 뿐 아니라 상승 속도가 빠르다. 금감원에 따르면 저축은행의 연체율은 2021년말 2.51%, 2022년말 3.41%에서 올해 3월말 5.07%까지 올랐다. 2016년 이후 처음 5%대다. 상호금융은 2021년말 1.17%였지만 2022년말 1.52%에서 올해 3월말 2.42%까지 상승한 상태다.
저축은행은 부동산 경기가 둔화하면서 기업대출 연체율(5.07%)이 전년말대비 2.24%포인트나 상승했다. 상호금융 역시 다세대·연립주택 등 담보대출 중심으로 연체율이 상승하는 추세다.
캐피털사와 카드사의 연체율은 1.79%, 1.53%로 전년말대비 각각 0.54%포인트, 0.33%포인트 상승했다. 코로나19로 유동성이 대거 풀리기 전인 2019년말(1.68%, 1.43%)보다도 높다.
|
한국은행도 비은행에 대한 감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12일 창립 73주년 기념식에서 “은행만을 대상으로 해선 금융 안정 목표를 달성하기 어렵다”며 “비은행 금융기관에 대한 감독권이 없다고 방치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지금까지 은행을 주요 정책 대상으로 삼던 한은이 비은행에도 관심을 보이는 이유는 금융 안정 측면에서 비은행이 중요도가 커졌기 때문이다. 이 총재는 “비은행 금융기관 수신 비중이 2000년대 들어 은행을 넘어섰고 은행·비은행 간 상호연계성도 증대됐다”고 설명했다.
◇“대출 무작정 못 줄여, 정책금융 등 필요”
2금융권도 심각한 상황을 인지하고 대출 부실에 대응해 충당금을 쌓고 있다. 금융통계정보시스템을 통해 저축은행(79개)·상호금융(4개)·신용카드사(8개)·캐피털(25개)의 연도별 대손충당금(실적립액)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총 28조723억원으로 전년(24조1971억원)대비 16.0% 증가했다.
단위조합까지 합한 상호금융이 12조1592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신용카드사가 11조601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저축은행은 2조6423억원, 캐피털은 2조2015억원을 각각 쌓았다.
올해도 충당금 적립은 계속되고 있다.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1분기 기준 전업 카드사 7개의 대손충당금 총액은 4조4947억원으로 전년동기(3조8954억원)대비 15.4% 늘었다. 저축은행도 같은기간 4조5379억원에서 5조7110억원으로 25.9% 증가했다.
|
특히 9월에는 그간 연장됐던 대출 만기 연장·상환 유예 조치가 종료될 예정이다. 지원 대상 대출 규모는 3월말 기준 85조3000억원(만기 연장 78조8000억원, 상환 유예 6조5000억원)에 달한다. 금융 지원이 끝난다고 모든 대출이 부실화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반기 연체율에 일정 부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관측이다.
2금융권이 대출 규모를 축소하는 등 무리하게 가계대출을 축소하는 것도 어렵다. 이복현 원장은 “국민경제에서 가계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자연스럽게 축소되는 것은 몰라도 급격하게 절대적 금액이 줄어드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은행권 이용이 어려운 중·저신용자가 갈 곳이 없어지기 때문이다.
최철 숙명여대 소비자경제학과 교수는 “경기가 어려워 대출 소요가 늘어나는데 가계부채를 줄이자고 대출을 줄이자고 하면 문제가 있는 것”이라며 “차주들의 상환능력을 파악해 자체 연장이나 상각 등을 잘 따져야 하고 취약계층을 위한 정책금융 공급과 대형은행의 지원 방안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