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고객·수익성 다 잡는다”…이커머스 ‘PB강화’ 삼매경

김정유 기자I 2024.04.01 06:05:00

무신사 ‘29cm’ 첫 PB 브랜드 ‘이구브랜드’ 론칭
큐텐은 인터파크 통해 PB 기획, 거래액 3배↑
컬리·쿠팡도 PB 확대, 상품군도 대폭 확장
C커머스 공세 속 브랜드 가치 살린 PB 중요도↑

[이데일리 김정유 기자] 경기 불황이 장기화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이커머스(전자상거래) 업체들이 수익성 개선을 위해 자체브랜드(PB) 확대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단순 수수료 기반의 수익 의존도를 낮추고 수익원을 다각화해 안정적인 매출을 올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합리적인 소비를 원하는 고객들의 수요도 높아지면서다.

무신사의 편집매장 브랜드 ‘29CM’이 최근 선보인 첫 PB ‘이구에디션’. (사진=무신사)
3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내 패션 이커머스 플랫폼 무신사의 편집매장 브랜드 ‘29CM’는 지난 29일 첫 번째 PB ‘이구에디션’을 선보였다. 라이프 스타일 브랜드를 표방하는 이구에디션은 디퓨저, 룸 스프레이 등 프래그런스(방향) 제품을 시작으로 테이블웨어, 홈 패브릭, 인테리어 소품 등으로 카테고리를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29CM가 라이프 스타일 브랜드를 ‘1호 PB’로 내세운 건 최근 증가하고 있는 인테리어 상품 수요가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실제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29CM에서의 가구, 조명 등 인테리어 상품 누적 거래액은 전년동기대비 60% 이상 증가했다.

큐텐그룹도 올해 PB 확장에 열을 올리고 있다. 국내에선 인터파크쇼핑이 주도해 PB를 기획하고 이를 그룹 계열 이커머스인 티몬, 위메프 등의 플랫폼에 공급하는 식이다.

인터파크쇼핑은 지난해 7월 첫 PB ‘아이팝’을 통해 물, 캡슐커피, 유산균, 키친타올, 행주 등 총 13종의 상품을 출시했다. 아이팝 상품들의 이달 기준 거래액은 출시 초기대비 3배 이상 늘었다. 인터파크쇼핑 관계자는 “반복 구매가 많은 상품군을 중심으로 상품을 선별하고 품질과 가격에 신경을 썼던 것이 주효했다”고 말했다.

인터파크쇼핑은 이달부터 신규 PB를 빠르게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초기엔 가성비 높은 생활용품, 패션잡화, 식품, 문구류로 고객의 반응을 살폈다면 앞으로는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화장품, 스포츠레저까지 다양한 상품군을 상반기 내 출시할 예정이다.

신선식품을 중심으로 한 컬리도 PB 전략을 내세워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올해 흑자전환에 공을 들이고 있는 컬리는 2020년 신선식품 PB ‘KF365’를 시작으로 현재 ‘컬리스’, ‘엔도스’, ‘마이 퍼스트’ 등 20여개의 PB 브랜드를 운영 중이다. 영역도 생활용품부터 건강기능식품, 베이커리 등까지 다양하다.

이같은 적극적인 PB 전략으로 컬리는 지난해 12월 처음으로 월간 상각전영업이익(EBITDA) 흑자를 달성했다. 지난해 연간으로는 여전히 적자(1436억원)를 벗어나진 못했지만 적자폭을 전년대비 40% 이상 낮추는 등 긍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한 쿠팡도 PB로 체질개선에 성공한 이커머스 플랫폼 중 하나다.

쿠팡은 현재 PB 전담 자회사 ‘CPLB’를 통해 ‘곰곰’, ‘탐사’, ‘코멧’ 등 총 29개 PB를 운영하고 있다. 2022년 기준 CPLB의 매출액은 1조3570억원으로 전년대비 28% 늘었다. 지난해 매출도 더 증가했을 것으로 추산된다.

PB 사업은 합리적인 가격과 검증된 품질을 내세워 빠르게 시장에 안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중간 유통 과정을 줄여 원가를 절감하거나 자체 이윤을 줄여 비교적 낮은 가격에 상품을 공급할 수 있다.

최근에 진행되었던 큐텐그룹 PB 사내 품평회 모습. (사진=큐텐그룹)
최근 알·테·쉬(알리익스프레스·테무·쉬인)로 불리는 중국 이커머스들이 초저가 공세를 펼치고 있는 상황 속에서도 가격뿐 아니라 품질과 신뢰도까지 따지는 소비자들에게 플랫폼의 브랜드 가치를 반영한 PB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셈이다.

업계에선 이커머스 플랫폼이 성장의 한계를 깨고 수익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PB 사업을 추진하는 건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보고 있다.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통해 중개 수수료 매출 외에 추가 수익원을 확보하고 외형과 내실 성장, 두 가지를 모두 챙길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최근에는 PB가 단순히 가격이 저렴하다는 이미지보다는 플랫폼이 쌓아온 노하우를 바탕으로 ‘검증된 상품’이라는 인식이 형성되면서 경쟁력을 더욱 갖추고 있는 추세”라며 “PB전략이 소비자에게는 편익을, 플랫폼 기업 입장에서는 수익성 강화를 꾀할 수 있는 효과로 호응을 얻고 있다”고 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