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전국 40개 지방정원 조성 논란…과열경쟁에 '제2 올레길' 우려

박진환 기자I 2023.03.07 06:00:00

순천만·태화강국가정원 성공 자극받은 지자체들 지정 러시
전국 40개 지자체서 지방정원 조성…경제활성화 효과 기대
과열 경쟁에 지역간 갈등 우려… 산림청 "희소·상징성 고려"

울산 태화강 국가정원 전경. (사진=산림청 제공)


[대전=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이 국가정원 지정을 위해 치열한 물밑 경쟁에 나섰다. 3년간 이어진 코로나19로 공원·정원에 대한 범국민적 관심이 폭발적으로 늘었고, 국가정원으로 지정시 연간 수십억원에 달하는 운영비를 전액 국비로 지원받을 수 있고, 도시의 브랜드 가치가 상승하는 등의 긍정적인 효과가 이어지자 지자체들이 앞다퉈 국가정원 지정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국가정원 지정·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산림청은 전국에서 쇄도하고 있는 국가정원 지정 움직임에 반가움을 표시하면서도 자칫 지역간 갈등 구도로 변질될 가능성에 대해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남 순천의 순천만 국가정원 내 순천호수정원 야경. (사진=산림청 제공)


산림청, 대전시, 세종시, 충북도, 전남대 등에 따르면 국가정원은 수목원정원법에 따라 지자체가 조성·운영하는 지방정원 중 지정요건에 적합한 경우 산림청장이 국가정원으로 지정할 수 있다. 현재 조성·등록된 국가정원은 2곳, 지방정원 5곳, 민간정원 92곳이다. 여기에 현재 전국적으로 모두 40곳에서 지방정원이 조성 중이다. 국가정원은 2015년 대한민국 1호 국가정원으로 지정된 순천만국가정원과 2019년 지정된 울산 태화강 국가정원 등 2곳으로 산림청은 추가 지정을 추진하고 있다. 국가정원으로 지정받기 위해서는 우선 지자체가 30㏊ 이상의 규모로 지방정원을 조성·등록한 후 수년간 운영에 대한 평가 등의 절차를 밟아야 한다. 국비 지원 규모는 지정면적 기준으로 30~60㏊ 20억원, 60~90㏊ 30억원, 90㏊ 이상 40억원이며, 지정면적과 함께 입장료 등 자체수입 기여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다. 전남 순천의 순천만 국가정원은 지난해 40억원의 국비를, 울산의 태화강 국가정원은 21억원의 국비를 각각 지원받았다. 이 중 순천만 국가정원은 입장료 수입 등 지출액 대비 자체수입 기여율이 100%를, 태화강 국가정원은 70%를 각각 기록했다.

전남대 산학협력단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순천만 국가정원이 가져온 지역 경제파급 효과는 4116억원으로 추산된다. 또 정원과 관련한 일자리도 250여개가 만들어졌으며, 도시 가치 상승 등 잠재적 가치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태화강 국가정원도 연간 110만명이 방문해 1600억원이 넘는 생산유발 효과를 낳고 있다. 특히 순만국 가정원은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한 후 국내 최고 수준의 정원문화 산업 생태계를 태동시켰다는 평이다. 국가정원이 잇따라 성공하면서 대전시와 세종시, 충남 공주시와 강원 춘천시·정선군, 전남 나주시, 전북 익산시 등 지자체들이 산이나 강, 호수, 습지, 바다를 활용한 지방정원 또는 국가정원 조성을 추진하거나 구상 중이다. 지방정원은 경북 경주시 화랑지방정원, 충북 음성군 봉학골정원, 충남 아산시 신정호지방정원 등 전국 40곳에서 조성 중이다. 대전시도 민선8기 출범과 동시에 국가정원 지정에 사활을 걸고 있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올해 1월 서구 노루벌의 국가정원 지정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서구 흑석동 노루벌 일원 123만㎡ 일원에 총사업비 1300억원을 투입해 6개 주제 정원과 문화센터, 관리시설 등을 설치하기로 하고, 3년 뒤 국가정원 지정 절차를 밟겠다는 청사진이다. 세종시도 전국 최고 도시 녹지율(52%)을 무기로 세종중앙공원의 국가정원 지정을 추진하고 있다. 세종시는 2025년 국제금강정원박람회의 성공적 개최를 발판 삼아 2027년 지방정원 등록, 2030년 국가정원 승격을 목표로 삼았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지자체들의 과열 경쟁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다. 2000년대 후반 제주 올레길이 명성을 얻자 전국 곳곳에서 우후죽순처럼 ‘걷는 길’이 생겼고, 현재는 대부분 찾지 않는 길로 전락한 것처럼 정원도 같은 사례가 될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또 지방정원 조성후 국가정원으로 승격 지정받는 과정에서 지역간 힘 겨루기 양상도 예상된다. 수목원정원법에 명시되지는 않았지만 국가정원의 희소성 등을 고려해 같은 권역에 2개 이상의 국가정원을 지정하지 않을 것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대전시와 세종시 사례처럼 같은 권역에 2개 이상의 시·도가 경쟁 구도를 보일 시 지역간 갈등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에 대해 산림청 관계자는 “국가정원의 지정 원칙은 크게 희소성과 적정성, 상징성 등이며, 지방정원 조성 후 수년간의 관리·운영 실적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지정한다”며 “무엇보다 정원 등 하드웨어적인 시설 조성에서 끝나는 것이 아닌 정원 관련 산업으로 연계하는 동시에 정원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문화 생활까지 이어지는 정원문화지수 등도 중요한 평가항목으로 지자체 단체장은 물론 지역주민 모두가 함께 하는 지역이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정원 조성후 입장료 징수, 정원수 판매 등 자체 수익구조를 갖추는 동시에 철저한 사후관리 방안도 함께 수반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