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에 사고를 당한 이들은 모두 하청업체와 외부 용역업체 소속 직원들로 개점 전 준비를 위해 새벽부터 업무에 나섰다가 참변을 당했다. 이번 화재에 대한 원인은 앞으로 정확한 조사가 이뤄져야 알 수 있지만 하루하루 열심히 살아가고 있는 있는 우리 이웃의 갑작스런 죽음이 안타까울 따름이다. 무엇보다 이번 참사는 유통업계의 고질적인 관행이 화를 키웠다는 점에서 우리 사회가 다시한번 시스템을 재점검하고, 재발방지 대책을 수립해야할 때이다. 당시 진화 현장에 출동한 일부 소방관들은 건물 옥내 소화전이 작동하지 않았다고 문제를 제기하는가 하면 연기·유독가스 등을 외부로 빼내는 제연시설이 설치되지 않았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어 경찰과 소방당국 등이 이를 집중적으로 들여다보고 있다.
정확한 화재 원인 규명과 함께 현대아울렛이 건립된 배경도 다시 한번 짚고 넘어가야 한다. 대전 유성구 용산동에 들어선 현대프리미엄아울렛은 건립 초기부터 대기업을 위한 특혜성 사업이라는 논란이 계속돼 왔다. 2017년 권선택 전 대전시장 재임 시절 대전시는 인근 상업용지에 비해 훨씬 싼 가격에 관광휴양시설용지를 매입한 현대백화점에 상업시설을 지을 수 있도록 특혜 수준의 행정 지원을 해줬다는 점이 논란의 핵심이다. 현대아울렛이 들어선 대덕테크노밸리(이하 DTV)는 2000년대 초반 국내 최초로 제3섹터 방식을 도입·개발한 신도시이다. DTV 단지 중앙에 배치한 10만㎡ 규모의 관광휴양시설용지는 호텔과 컨벤션, 테마파크를 유치, 도시의 랜드마크로 활용하는 동시에 도심 속 공원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그러나 호텔 사업 자체가 적자 사업으로 호텔 운영 사업자를 찾지 못한 사업법인은 결국 이 토지를 현대백화점에 매각했고, 다시 현대백화점은 2014년 8월 10만㎡ 규모의 아웃렛 매장을 건립한다는 계획안을 대전시에 제출했지만 당시 대전시는 특헤 시비를 이유로 반려했다.
이런 상황에서 권선택 대전시장의 취임과 함께 이 사업은 갑자기 급물살을 타게 됐다. 2017년 대전시는 현대백화점의 DTV 용산동 관광휴양시설용지에 대한 세부개발계획 제안서를 검토, 행정절차에 착수했고, 사업 인가로 갑작스럽게 전환했다. 그 이유로는 “현대백화점이 다시 제출한 계획서를 보니 판매시설 외에 호텔과 컨벤션센터, 테마공원 등 공익시설이 다수 포함돼 용지의 개발방향과 부합했다”는 논리로 180도 다른 태도를 보인 것이다.
이 과정에서 지역 정치권과 시민사회단체는 “특정 대기업에 대한 과도한 특혜”라며 반발했고, 사업 백지화를 요구했다. 지역상인들도 아웃렛 입주에 따른 지역상권 붕괴를 우려했지만 대전시는 이를 모르쇠로 일관했다. 결국 대전시가 현대백화점에 내준 특혜의 산물이 바로 현대아울렛으로 탄생했고, 지역의 랜드마크이자 휴양시설로 건립하고 지역과 상생하겠다는 약속은 사라진 채 대형 참사의 현장으로 기억될 것으로 보인다. 늦었지만 이제라도 수사당국과 대전시는 당시 사업 인·허가 과정을 다시 확인하고, 문제가 된 부분을 도려내야 할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