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중국선 짝퉁, 국내선 베끼기 횡행…몸살 앓는 K뷰티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김경은 기자I 2025.06.23 05:40:01

[K뷰티 성장의 그늘]① '가품'부터 '미투'까지 봇물
에이피알·센텔리안24, 잇따라 위조제품 주의보 공지
유행 따라 너도나도…PDRN 등 유사품 우후죽순
ODM 통해 누구나 화장품 제조…성장 저해 우려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지난 4월 중국 광저우(廣州)에 위치한 한 공장. 벽엔 거뭇거뭇한 얼룩이 묻어있고 곳곳이 깨진 바닥 타일 위로는 화장품 용기 수십개가 나뒹굴고 있었다. 이곳 직원들은 위생 장갑도 끼지 않은 채 스테인리스 통에 담긴 화장품을 퍼다 용기에 옮겨 담았다. 해당 용기 겉면엔 국내 기업 에이피알(278470)의 화장품 브랜드 ‘메디큐브’가 적혀 있었다. 에이피알이 중국 당국과 함께 적발한 메디큐브 가품 제조 현장의 모습이다.

K뷰티가 역대 최대 호황을 누리는 가운데 성장 이면에는 모방과 위조, 줄폐업이라는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워 있다. 소위 ‘짝퉁’인 해외 가품으로 몸살을 앓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국내 기업들 사이의 ‘미투’(모방) 제품도 판을 친다. K뷰티 열풍에 편승해 무분별하게 시장에 진입하는 사례가 늘고 이에 따른 부작용이 커지면서 산업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화장품 기업들이 자사 브랜드의 위조 제품 유통 관련 소비자 피해 예방을 안내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에이피알 메디큐브 중국산 가품 제조 적발 현장. (사진=에이피알)
에이피알은 지난달 메디큐브 공식몰을 통해 ‘위조 제품 관련 소비자 피해 예방 안내’와 관련된 공지사항을 게재했다. 가품 판매자들이 국내외 오픈마켓에 메디큐브 정식 판매처로 위장해 가품을 판매하고 있어서다. 동국제약의 더마코스메틱 브랜드 ‘센텔리안24’도 이달 위조제품 유통 관련 안내문을 공식몰에 게재했다.

위조 제품뿐만 아니라 미투 제품 역시 화장품 업계의 고질적인 문제로 지목된다. 최근 바늘 모양의 미세 침을 포함한 화장품, 연어·송어 생식세포에서 추출한 DNA 조각으로 이뤄진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PDRN) 성분의 화장품이 우후죽순 출시되는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업계에선 시장 진입 장벽이 낮고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화장품 산업 특성을 원인으로 지목한다. 아이디어만 있으면 제품 개발부터 생산까지 화장품 제조자개발생산(ODM) 업체를 통해 해결할 수 있는 구조가 한몫을 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김주덕 성신여대 뷰티산업학과 교수는 “ODM사의 경쟁력이 강해질 수록 누구나 쉽게 진출하고 모방하기 쉽다”며 “연구개발(R&D) 기반의 사업화 노력이 이어져야 K뷰티의 인기를 이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