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형을 집행한 국가와 외교적·경제적 협력을 거부하는 유럽연합(EU) 등 국제사회와의 관계를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실제 한 장관은 지난 7월 국회 법사위 전체회의에서 “사형제는 외교적 문제에서 강력하다”며 “사형 집행 시 유럽연합과의 외교관계가 단절될 수 있다”며 집행에 조심스러운 입장을 드러냈다.
다만 또다른 일각에서는 집행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도 없다는 의견도 나온다. 한상희 건국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일단 강력범죄에 대한 경고 목적이 있겠으나, 궁극적으로는 집행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창현 한국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역시 “법의 실효성 확보 차원에서 연말에 사형이 집행될 수도 있다고 본다”고 관측했다.
이웅혁 건국대 경찰학과 교수는 “우리나라는 1990년 초 사형을 집행할 당시 사형수 20~30명 정도를 한날에 집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며 “이런 사례에 비춰봤을 때, 미집행 사형수 중 대표적인 흉악범들을 한곳에 모아두는 것은 집행을 염두에 둔 것일 수 있다”고 짚었다. 한상희 교수는 “이태원 참사 등 각종 사회적 참사가 발생하고 경제지표도 좋지 않은 상황에서 정부는 국민적 열망이 큰 사형집행으로 여론 전환을 시도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한편 한국은 사형 제도가 있지만 1997년 12월 이후 집행된 적이 없어 ‘실질적 사형 폐지국’으로 분류된다. 현재 사형 집행이 이루어지지 않은 미결수 신분의 수감자는 59명으로, 이들 중에는 존속 살해와 총기 난사 등 잔혹한 범죄를 저지른 범죄자가 다수 포함돼 있다. 지난해 한국갤럽이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국민 77.3%가 ‘사형제를 유지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이 중 95.5%가 ‘흉악범에 대한 사형집행이 이뤄져야 한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