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이소현 기자] “참가하시겠습니까?”
넷플릭스 오리지널 ‘오징어 게임’ 시즌3 출시와 동시에 IT 및 게임업계에선 브랜드 협업이 이어지고 있다.
카카오(035720)는 카카오프렌즈와 브랜드 협업으로 ‘춘식이 게임 더 파이널 게임(The Final Game)’을 지난달 30일 선보였다. 톡 플랫폼에 최적화된 몰입형 스토리 설계와 사용자 참여 유도 방식으로 지난달 30일 공개와 동시에 빠르게 입소문을 타며 주목받았다.
| 
 | 
카카오가 카카오톡을 활용한 방탈출 게임을 오징어 게임 시즌3 출시와 함께 이벤트성으로 만들었다고 하는데 어떻게 구현될지 궁금해 실행했다.
평소에도 친구들과 방탈출 게임을 즐겨왔는데 모바일상에서 어떻게 방탈출 게임이 구현될 수 있는지가 의문이었다. 우려와 달리 익숙한 카톡 오픈채팅 기능이 방탈출 게임이라는 옷을 입으니 색다른 디지털 놀이공간으로 탈바꿈했다.
우선 카톡에서 ‘춘식이 게임’을 검색한 뒤 오픈채팅 방에 입장했다. 첫 화면에는 ‘철수 캐릭터’로 분장한 춘식이, 일명 ‘춘수’가 맞이했다. 방마다 퀴즈가 주어지고 그 정답이 다음 방으로 이동하는 ‘참여코드’가 됐다.
카톡 오픈채팅 방을 탈출해 무지개 문이 있는 마지막 방까지 도달하는 것이 목표였는데 그 과정은 결코 쉽지 않았다.
문제는 오징어 게임 시즌3의 숨바꼭질 에피소드를 모티브로 삼아 단순한 추리부터 언어유희, 숫자 암호까지 다양한 형식을 포함하고 있었다. 각 방의 커버 이미지나 대화 내용을 힌트 삼아 정답을 유추해야 하는데 모두 영어 소문자 4~8개 사이의 정답을 입력해야 단계별 탈출 가능했다.
| 
 | 
‘이 방은 최종 탈출의 방이 아닙니다’라는 내용을 알려주는 알림은 1분마다 계속 울려 압박으로 다가왔기에 알림 끄기는 필수였다. 1단계부터 함정에 빠져 답을 여러 번 틀리니 몇 분간 정답을 입력하는 것도 제한되면서 긴장감이 더해졌다.
꽤나 고민을 요하는 퍼즐도 여럿 있었는데 혼자선 안 되겠다고 생각해 대학 동기들이 모인 단체 카톡방에 춘식이 게임을 공유하고 같이 풀어나갔다. 같이 머리를 맞대서 풀다 보니 혼자 할 때보다 쉽게 풀렸다. 정답은 모르겠고, 방탈출은 하고 싶기에 정말 못 풀겠는 문제는 소셜미디어(SNS)와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게임 힌트와 문제 풀이 찾아보면서 10단계까지 도달해 탈출에 성공했다.
게임 내 문제는 단순한 퀴즈 풀이를 넘어서 ‘당신의 이야기’라는 서사를 읽고 몰입한 뒤에야 풀 수 있는 심리형 퍼즐 요소도 포함됐다. 일부 문제는 카카오톡 기능(오픈채팅, (샵)검색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만 풀 수 있는 구조로 설계돼 있어 생각보다 정교한 느낌을 받았다. 물론 기발한 문제도 있었지만, 어떤 문제는 도저히 못 풀어서 SNS에서 엿보고 정답을 확인했을 땐 조금 억지스러운 부분도 있어 아쉽기도 했다.
| 
 | 
선착순 100인에는 못 들어 경품은 못 받았지만, 게임을 끝까지 완료하니 탈출 인증용 톡 프로필 이미지와 배경화면이라는 ‘최종 탈출 시크릿 리워드’를 받을 수 있었다.
카카오에 따르면 춘식이 게임은 지난 4일 기준 누적 참여자 수는 총 3만9046명을 기록했다. 이 가운데 1만1400명이 최종 탈출에 성공했다. 참가자 4명 중 1명꼴만 탈출에 성공한 셈이다.
춘식이 캐릭터는 너무 귀여웠지만, 춘식이 게임은 결코 만만하게 볼 게임은 아니었다. 실제 오징어 게임이었다면 목숨은 이미 게임머니를 쌓는데 사용됐을 것이다. 춘식이 게임에 도전하고 싶다면 오는 7일까지 운영되니 경험해 보면 된다.
 
					 
					 
					 
					 
					 
					 
						 
						


 
						 
						




!['나 떨고 있니?'...성매매 남성 사진 9천장 쏟아져 '발칵' [그해 오늘]](https://image.edaily.co.kr/images/vision/files/NP/S/2025/11/PS25110100001t.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