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시민단체들은 기업들에게 자료를 제출받아 조사하는 방식은 이미 실패한 방법이라고 지적해왔다.
최예용 환경보건시민센터 소장은 “지난 2011년 이미 국무총리실에서 TF를 만들어 이번과 같은 방식으로 조사에 나섰지만 국정감사 결과 기업이 요청 자료를 다 주지도 않았고 절반 정도만 제출했다”며 환경부의 조사방식을 비판한 바 있다.
환경부는 현행법에 따라 안전성 검증에 필요한 자료를 기업에 요구하는 경우 시간이 지체될 수 있어 검증이 시급한 기업들과 협약 체결 방식으로 안전성 검증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날 환경부와 협약을 체결하는 기업들은 위해성이 우려되는 생활화학제품을 생산·유통하는 55개 기업들이다. LG생활건강, P&G 등 제조·수입기업과 11번가, 다이소 등 7개 유통사이다.
제조·수입기업들은 25일까지 제품별로 함유된 화학물질의 함량, 제품 내 기능, 보유하고 있는 유해성·위해성 등의 자료를 환경부에 제출한다.
환경부는 제출된 자료를 검증해 제품별 성분을 목록화하고 살생물질 함유여부, 사용빈도 등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해 위해성을 평가하고 결과를 공개한다는 입장이다.
이번 협약에 참여하지 않은 제조·수입기업에 대해서 환경부는 지난 1일 제품 내 함유된 살생물질 등 필요한 자료제출을 명하는 공문서를 발송했다고 밝혔다.
위해우려제품 생산기업 5800여곳이 6월말까지 해당자료를 환경부에 제출하지 않은 경우 10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