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트럼프 출범과 함께 수출 감소…'보릿고개' 현실화하나

김형욱 기자I 2025.01.22 05:00:00

1월1~20일 수출 전년비 5.1%↓
16개월만의 감소세 전환 ‘확실시’
조업일 감소에 車·석유·휴대폰↓
美신정부 관세압력땐 부담 가중

[이데일리 김형욱 강신우 하상렬 기자] 한국의 수출 둔화 흐름이 본격화하는 모습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취임하며 수출 환경에도 불확실성이 켜진 상황으로, ‘보릿고개’가 현실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진다.

◇반도체 뺀 전 품목 수출 감소세

[이데일리 이미나 기자]
21일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1월1일부터 20일까지 수출액은 316억달러(약 45조원·통관기준 잠정치)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1% 줄었다.

대부분 품목·지역이 일제히 부진했다. 최대 수출품목인 반도체 수출액이 전년대비 19.2% 늘어난 63억달러로 선방했으나, 승용차(32억달러·7.3%↓)와 철강(24억달러·3.2%↓), 석유(20억달러·29.9%↓), 선박(16억달러·16.2%↓), 차부품(10억달러·10.1%), 무선통신기기(7억달러·18.8%↓) 등 거의 모든 품목 수출이 전년대비 감소했다.

지역별로도 대중국 수출(65억달러)이 4.9% 줄어든 것을 비롯해 대미국 수출(56억달러)과 대유럽연합(EU) 수출(34억달러)도 각각 9.6%, 4.0% 감소했다.

조업일수(14.5일·토요일=0.5일)가 전년(15.5일)대비 줄어든 것이 약 6.5%의 수출 감소 효과로 이어졌다. 그러나 조업일수 영향을 배제한 일평균수출액도 전년대비 증가율이 1.4%까지 내리는 등 둔화 흐름이라는 점은 변함없었다.

이 추세라면 이달 수출 감소도 확실시된다. 아직 11일이 남았으나 올해 설 연휴가 2월에서 1월로 앞당겨진데다 대체공휴일까지 있어 영업일수가 전년대비 4일(24→20일) 부족하기에 일평균 수출액이 16.7% 이상 늘어나지 않는 한 월간 수출액은 감소할 수밖에 없다. 이대로라면 재작년 10월부터 이어진 전년대비 수출 증가 흐름이 16개월 만에 감소 전환할 전망이다.

조익노 산업부 무역정책관은 “20일까지 일평균 수출액은 소폭 증가하며 상승 모멘텀을 이어가고 있지만, 이달 말 설 연휴에 더해 중국 춘절과 베트남 뗏 등 연휴도 맞물려 있어 월간으론 일시적 둔화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트럼프 “조속히 보편관세 부과할 것”

취임 직후부터 여러 행정명령을 쏟아내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보편관세 부과 카드를 완전히 내려놓지 않은 점도 우리 수출에는 부담이다. 정부 역시 올해 역대 최대인 7000억달러 이상의 수출 계획을 수립하면서도 상반기 ‘보릿고개’를 거쳐 하반기에 반등하는 ‘상저하고’를 예상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식이 열린 2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백악관 집무실에서 행정명령에 서명 후 실무자에게 전달하고 있다. (사진=AP)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일 보편 관세 관련 질문에 “아직 준비되지 않았지만 조속히 부과할 것”이라며 “모든 나라가 미국을 이용하고 있고 우리는 거의 모든 나라에 적자”라고 말했다.

허윤 서강대 국제통상학과 교수는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부과를 강하게 압박하고 뭔가를 얻어내려 할 것”이라며 “전 세계 보호무역주의 기조가 더 강해지고 중국이 (미국을) 우회해 수출하려 하는 만큼 우리 수출은 힘든 상황이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신정부가 주시하는 대미 무역수지 흑자 폭은 연초 들어 소폭 감소했다. 대미 수출(56억달러)이 9.6% 감소한 반면 수입(42억달러)는 3.5% 늘며 무역수지는 14억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전월 같은 기간(12월1~20일) 대미 무역수지 흑자는 33억달러였는데 절반 이상 줄어든 것이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곧 트럼프와의 전화 통화를 추진한다. 그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대외경제현안간담회를 열고 “트럼프 신정부가 앞으로 발표할 행정명령을 주시하며 우리 경제에 끼칠 영향과 대응방안을 면밀히 점검할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이 관심을 보인 조선업 협력 등 기회 요인도 적극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같은 기간 우리나라 수입액(354억달러)도 전년대비 1.7% 줄었다. 역시 조업일수 감소가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수출액 감소 폭이 수입액보다 더 큰 탓에 무역수지는 38억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대미 무역수지 흑자 폭이 줄어든 가운데, 대중국 적자 폭(14억달러)도 커졌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