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의 경우 AI 노출도가 높은 선진국에 포함돼 있지만, 전문가들은 인력 육성이 늦어지면 이 같은 기회를 놓칠 수도 있다고 보고 있다. 인프라와 정부전략 등에서는 앞서도 이를 뒷받침할 인력이 부족할 수 있어서다.
실제로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지난해 말 발표한 ‘2024 글로벌 AI인덱스 결과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AI 경쟁력은 개발에서 3위, 정부전략과 인프라에서 각각 4, 6위를 기록하는 등 상위권을 나타내고 있지만 인재와 연구 분야의 순위는 13위에 그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가 적극 나서 소멸하는 일자리의 인력이 새로 생겨나는 일자리로 순조롭게 전환하고 이동할 수 있는 정책을 준비해야 한다는 조언이 잇따른다.
최창옥 한국산업개발연구원(KID) 연구교수는 “우리가 빠른 속도로 경쟁국을 제치고 IT 강국으로 부상한 배경은 IMF로 일자리를 잃은 고급 인력이 대거 IT 산업으로 이동했기 때문”이라며 “AI 활용을 위한 구조조정은 이제 우리 스스로 자발적으로 할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최 교수는 “고용보험을 단순한 소득보장이 아니라 새로운 산업정책 수단 즉 신흥 산업과 비즈니스가 필요로 하는 인력을 공급하는 시스템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며 “이를 위해 10~20년 이상 장기근속자의 경우 재교육·재훈련 기간을 기존 6개월에서 최대 2년까지 연장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