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사직했다는 이비인후과 의원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곳에 있던 소아약국 또한 얼마후 문을 닫았다. 소아약국을 운영하던 약사는 “찾는 아이 환자도 줄어들고 임대료를 맞출 수 없어서 떠날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
지난해 말 기준 서울 소재 소아청소년과 의원은 456개로 5년 전보다 45개 줄었다. 이마저도 코로나19 기간 동안 급격히 감소했다가 2023년부터 조금씩 늘어난 수치다. 서울은 줄었지만 경기는 5년 전보다 35개 늘었으며 부산(3개 증가)과 인천(6개 증가) 등 일부 대도시도 다소 늘었다.
지방은 감소 추세를 넘어 소아청소년과 의원이 단 한 곳만 존재하는 지역도 있다. 이런 지역은 아이들이 없는 이유가 크다. △강원 홍천군 △횡성군 △양구군에는 소아청소년과 의원이 단 하나뿐이다. △경남 밀양시 △함양군 △경북 문경시 △예천군 △전남 무안군 △충남 금산군 △부여군 △서천군 △충북 옥천군 △증평군 △전북 부안군 또한 소아청소년과 의원이 한곳이다.
이러한 지역 내 소아 진료를 보조하기 위해 보건소와 보건지소는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를 공중보건의사로 고용한다. 이제는 그마저도 어렵다. 2024년 4분기 기준 △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의료원에서 근무하는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는 126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7명 줄었다.
|
수입은 늘지 않는데 임대료 등 비용은 계속 늘어나고 있다. 지방은 임대료가 내림세를 보이고 있지만 서울은 주요 상권을 중심으로 임대료가 여전히 상승세다. 인건비 부담 또한 소아청소년과 의원 개업을 어렵게 하는 요소 중 하나다. 일부 의원에서는 건강기능식품과 비급여 의료제품 판매로 수익을 보전하고 비급여 예방접종에 적극적으로 나서기도 하지만 서울에서 버티기가 어렵다는 분위기다.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관계자는 “만성적인 낮은 수가를 정상화하고 연령 가산의 범위를 늘리고 가산율을 최소 2배 이상 확대해야 한다”면서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가산을 초진에서 재진까지 확대하는 방안도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