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시스템은 지난 2001년 삼성전자 방위부문과 탈레스의 조인트벤처인 삼성탈레스로 설립했다. 2015년 한화그룹 편입 및 2016년 탈레스의 지분매각에 따라 한화시스템으로 사명을 바꿨다. 2018년 한화그룹 시스템 통합(SI) 업체인 한화S&C를 합병하고 정보통신기술(ICT) 사업을 추가했다.
사업구조는 크게 방위사업, ICT사업, 신사업으로 나뉘는데, 매출 비중은 과거 3년 평균 방위사업 71%, ICT사업 29%다. 신사업은 아직 매출 기여를 하지 못하고 있다. 최대주주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로 지분 46.7%를 보유하고 있으며, 한화에너지가 지분 12.8%로 2대 주주다.
한화시스템의 3분기 영업이익은 220억원(영업이익률 4.4%)으로 추정했다. 전년 동기 5억4000만원(영업이익률0.1%) 대비 크게 개선한 규모다. 한화생명의 차세대 시스템 구축 사업 연기로 부진했던 전년도 ICT부문 실적이 정상화된 영향이다.
이 연구원은 한화시스템의 저궤도용 소형 위성 사업에도 주목했다. 한화시스템은 제주 한화우주센터를 2025년 완공 목표로 준비 중이며 저궤도 소형 위성 관련 생산기지로 육성할 계획이다. 현재 생산 예정인 저궤도용 소형 위성은 두 가지다. 우선 초소형위성체계 사업에 사용될 관측 위성으로 2026년 성능 검증, 2028년 다수 위성을 발사할 계획이다.
그는 “총 사업규모는 약 1조4조000억원이나 저궤도 위성은 수명이 짧아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민간 관측 위성 시장 진출도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아울러 영국 우주 인터넷 기업 원웹과의 협력 가능성도 높다고 봤다. 원웹은 634개의 1세대 군집위성을 구축 완료한 상황이다. 9월 말 유텔샛과 합병 예정이다. 위성수명 및 성능개선을 위해 2세대 위성도 발사해 야 하는데, 이 생산시설 활용할 전망이다.
그는 “한화시스템이 개발 중인 ISL(위성간 레이저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기술)을 활용하면 고용량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