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이날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24% 오른 3만5416.78로 장을 마감했다. 대형주 중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0.10% 상승한 4554.00을 기록했다. 기술주 중심 나스닥 지수는 0.29% 오른 1만4281.76으로 거래를 마쳤다.
이번 주 뉴욕 중시는 연이틀 보합세를 기록하고 있다. 11월 들어 주가 상승이 계속되면서 피로감이 누적된 영향이다. S&P 500 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이달 들어 각각 8%, 10% 넘게 상승했다. 이 같은 흐름이 이어진다면 지난해 7월 이후 1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월간 상승률을 기록하게 된다. 올리버 퍼셰 웰스스파이어 수석부사장은 “마라톤 선수도 물을 마시기 위해 쉬어야 한다. 그렇다고 랠리가 끝나다는 건 아니다”며 “연말을 낙관할 충분한 이유가 있다”고 로이터통신에 말했다.
◇비둘기 날개 편 매파…시장선 금리인하 기대감↑
오는 30일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 발표를 앞두고 관망세도 확산하고 있다. PCE는 도시 소비자의 체감 물가 반영도가 높다는 점에서 연준이 통화정책을 결정할 때 핵심 참고 지표로 쓰이고 있다. WSJ이 집계한 시장 컨센서스를 보면 신선식품·에너지 물가를 제외한 11월 근원 PCE 가격지수는 전년 대비 3.5%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같은 전망이 맞는다면 2021년 4월 이후 가장 낮은 상승률이 된다.
기자 Pick
월러 이사까지 비둘기파(통화 완화 선호파)적 목소리를 내면서 시장에선 연준의 긴축 종료가 임박했다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퍼셰 부회장은 “연준 내에서 여러 목소리가 나오는 건 정상적이며 연준이 통화정책 사이클이 마무리될 때마다 이런 현상이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OPEC+회의 앞두고 유가는 오름세
이날 주요 종목 가운데는 오는 30일 사이버트럭(전기 픽업트럭)을 공개하는 테슬라 주가가 전날보다 4.51% 뛰었다. 칼라일그룹도 S&P 미드캡 400 지수에 편입된다는 소식에 4.91% 급등했다. 반면 마이크론은 이번 분기(9~11월) 실적 개선 전망에도 불구하고 비용이 함께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면서 주가가 1.79% 하락했다.
이날 글로벌 벤치마크 역할을 하는 브렌트유 2월물 선물 가격은 전날보다 2.4% 높은 배럴당 81.96달러까지 상승했다. 오는 30일 산유국 카르텔인 석유수출국기구(OPEC) 플러스(+)가 추가 감산 논의를 앞두고 국제유가는 최근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