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세종병원 정형외과 김영준 과장은 “‘근위 상완골 골절에서 관절경적 봉합 고정술과 개방형 판 고정술의 결과 비교 연구’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연구에는 지난 2010~2020년까지 근위 상완골 골절 치료를 받은 환자 총 108명이 참여했다. 64명은 관절경 봉합 고정술을 받았고, 44명은 개방형 금속판 고정술을 받았다.
그룹 간 연구는 ▲주관적인 어깨 기능(어깨 기능 척도) 비교 ▲운동범위, 골절 고정 실패, 골절 이동, 합병증 등 비교 총 2가지로 이뤄졌다. 이와 함께 연구 대상 환자의 연령, 성별, 체질량지수(BMI), 수술시간, 어깨 탈구, 골절 분쇄도, 전후방(AP)·상하방(SI) 크기 및 변위도 평가해 비교했다.
연구 결과 관절경 봉합 고정술을 받은 환자가 금속판 고정 수술을 받은 환자보다 임상 점수가 더 높았다. 아울러 골절 변위 및 합병증 발생률이 낮았다. 다만 관절경 봉합 고정술의 수술 시간은 더 길었다. 연령, 성별, BMI, 어깨 탈구, 골절 분쇄 유무는 영향이 없었다.
김영준 과장은 “이번 연구 결과는 외상 환자 상태에 맞는 치료법을 선택하는 데 도움을 준다”며 “환자를 더 잘 치료하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연구가 필수적이다. 앞으로도 환자 진료와 함께 꾸준히 연구에도 매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