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경찰 조사 끝까지 거부한 尹, 특검 앞두고 입원한 김건희 [사사건건]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박기주 기자I 2025.06.21 11:00:00

세 차례 출석 요구 거부한 尹, 체포영장 초읽기
김건희, 특검 출범 앞두고 돌연 입원

[이데일리 박기주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신청이 초읽기에 들어갔습니다. 경찰의 마지막 소환 요구까지 받아들이지 않았기 때문인데요. 이 과정에서 김건희 여사는 한 병원에 입원했습니다. 이를 두고 특검의 수사를 피하려고 입원한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헌법재판소 파면 결정 후 일주일 만인 지난 4월 11일 오후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를 떠나고 있다. (사진= 방인권 기자)
지난 19일은 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단(특수단)이 윤 전 대통령에게 출석 조사를 받으라고 통보한 일자였습니다. 이번이 세 번째 소환 요구로, 사실상 ‘최후통첩’이었습니다. 이런 경우 경찰에게 남은 카드는 체포영장 신청 뿐이기 때문이죠.

경찰이 조사하려는 윤 전 대통령의 혐의는 특수공무집행방해 및 대통령경호법상 직권남용 교사 등입니다. 앞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와 경찰의 체포영장 집행 시도 과정에서 윤 전 대통령이 대통령경호처를 동원해 이를 방해했다는 혐의입니다. 여기에 내란의 ‘스모킹건’으로 꼽히는 계엄 사태 전후로 사용된 비화폰 내역을 삭제하라고 지시한 것도 경찰의 수사 대상에 올라 있습니다.

윤 전 대통령 측은 출석 요구를 거부하기 직전 경찰에 ‘해당 의혹은 범죄 혐의가 성립하지 않고 경찰의 출석 요구는 부당하다’는 취지로 의견서를 제출했습니다. 다만 제3의 장소에서 진행하는 대면조사나 서면조사엔 협조할 의향이 있다는 게 윤 전 대통령 측의 의견입니다.

하지만 경찰은 대통령경호처로부터 대통령실 CCTV와 비화폰 서버를 확보해 수사에 탄력을 붙여온 상황에서 윤 전 대통령에 대한 대면조사가 수사에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결국 체포영장 신청이 불가피한 상황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죠.

이에 따라 경찰은 ‘내란 특검’과 체포영장 신청 협의에 들어갔습니다. 앞으로 윤 전 대통령의 내란과 관련된 대부분 혐의 수사를 특검이 이끌어가게 되는 만큼 수사의 속도에 대해 논의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윤 전 대통령의 거취를 두고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김건희 여사는 지난 16일 서울 송파구 아산병원에 입원해 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우울증 등 평소 지병이 악화되면서 입원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이 시점을 두고 비판의 목소리가 나옵니다. 특검이 출범을 앞둔 시기였던 탓입니다. 즉 ‘꾀병’ 입원을 한 것 아니냐는 것인데요.

김 여사는 서울중앙지검의 공천개입 의혹 수사, 서울남부지검의 건진법사 금품수수 의혹 수사를 받아왔고 ‘김건희 특검’의 수사 대상에 올라 있는 상황입니다. 특검 역시 김 여사에 대한 강제수사가 불가피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국민일보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들은 측근들에게 “옛날부터 아내의 우울증이 심각했다. 아내가 진짜 많이 아프다”라고 언급한 것으로 토로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수사 회피 의혹에 대해서는 “하는 수 없지 않느냐”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고 합니다.

이유야 어찌됐든 대한민국 수사의 정점에 있었던 인물과 그 배우자가 수사기관의 수사에 대해 ‘시간끌기’를 하는 것 아니냐는 의혹을 받는 것 자체가 불명예스러울 수밖에 없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지

尹대통령 파면, 그 후

- 尹, 18일 구속적부심 출석한다…"건강상태 재판부에 설명" - "尹독방 인권침해…에어컨 놔달라" 인권위에 진정 '우르르' - '北 무인기 침투' 보고했는데 尹 몰랐다? 엇갈린 진술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