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경태 자유한국당 의원이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문화재청 국정감사에서 정재숙 문화재청장에게 한 말이다. 북한에 있는 문화재를 국민이 낸 세금으로 발굴하는 의도를 비판하는 건 이해하기 어렵다. 이북의 문화재는 우리가 아니라 남의 역사에서 나온 부산물이라고 읽히기 때문이다. 또 발굴이 아닌 개발이라는 말로 역사를 올바로 알아가는 흔적으로서 문화재가 아닌 마치 관광상품의 하나처럼 표현한 것도 아쉽다. 같은 당 김재원 의원도 “과연 발굴하고자 하는 국민적 욕망이 많은지, 필요성을 느끼는지 생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22일 개성 만월대 남북 공동발굴이 재개한다. 북한의 문화재를 확인할 길이 없었던 사학계에 활력이 돈다.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남북이 갈려 있지만 고구려와 고려라는 공통의 역사를 배우고 그 역사의 결과물인 문화재가 존재하고 있다”며 “문화재 정보를 교류하고 복원하는 일을 하지 않는다면 이는 직무유기”라고 강조했다. 만월대는 태조 왕건이 송악산 기슭에 도읍을 정한 후 정한 거처인 만큼 발굴 성과에 따라 고려사의 오류를 바로잡을 수 있다. 더 나아가 상대적으로 베일에 가렸던 고구려의 참모습을 살필 길도 열리기를 바라고 있다. 고구려와 관련한 문화재는 대부분 북한의 땅에 잠들어 있다.
우리의 역사는 휴전선 이남에 국한하지 않는다. 대한민국 헌법에 따르면 한반도는 우리 대한민국의 영토다. 한때 한반도를 넘어 만주를 호령했고 일본 등 주변국에 영향을 미쳤다. 이 흔적들을 온전히 찾아내 후손에게 알리는 건 필요를 넘어 당연한 일이다. 개성에 남은 우리 역사를 살피려는 움직임을 남의 문화재를 대신 개발하는 게 아니냐는 식으로 받아들여서는 곤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