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통상자원부 소속 국가기술표준원(기표원)은 28일 놀이기구 안전인증 대상에서 제외돼 인증을 낼 수 없던 장애인용 놀이기구 해결책 마련을 위한 전문가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오전 서울 금천구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서 열린 첫 회의에는 기표원과 한국공원시설협동조합, 한국소비자원, 한국기계전자시험연구원 등 정부·학계·업계·인증기관 관계자 15명이 참석했다.
회의에서는 국내 놀이기구 안전관리 현황과 해외 장애인 놀이기구 사례, 휠체어 그네 사용에 따른 위해성 검토가 중점적으로 다뤄졌다. 기표원은 휠체어 그네 안전관리를 위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해 보건복지부·국민안전처 주관하에 부처 간 협의를 진행하기로 했다.
김남진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시민연대 실장은 “휠체어 그네 안전 인증 외에도 차후 장애인 놀이기구 관리와 운영을 어떻게 할 것인지 합의할 수 있는 협의체를 만들고 소관부처를 명확히 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SMI 엔터테인먼트 관계자는 “조수미씨가 장애인 복지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어 장애인용 놀이기구에 대한 논의를 계속하고 있다”며 “오는 10월 한국을 찾아 휠체어 그네 기증을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1월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한 조배숙 국민의당 의원은 “장애인들이 놀이시설에서 차별 없이 놀 수 있도록 정부와 지자체가 대책을 마련하는 것은 당연한 의무”라고 말했다. 조 의원이 발의한 법률 개정안은 국가 및 지자체가 장애아동이 안전하게 어린이 놀이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놀이시설의 설치 유지 및 보수 등에 있어 필요한 지원을 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