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거시분석팀은 소비 부진은 ‘기간간 대체’ 효과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기간간 대체는 금리상승에 따라 가계가 저축을 늘리고 현재소비를 줄이는 소비선택 변화를 의미한다.
보고서를 집필한 정동재 과장은 “소비품목 및 가계 특성과 무관하게 소비가 광범위하게 부진한 가운데, 가계 순저축률이 과거 평균 대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가계가 고금리를 좇아 예금, 채권 등 이자부 자산을 늘리고 대출금 등 이자부 부채를 줄이면서 가계의 부채 대비 이자부 자산 비율이 급상승했다”고 설명했다.
금리인상 여파는 30·40대 소득 중상위층 가계에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됐다. 거시분석팀이 가계별 ‘금리리스크에 노출된 정도’(금리익스포저)에 따라 금리상승 영향을 구분한 결과, 단기금융자산 대비 단기금융부채가 많은 ‘금리상승 손해층’의 소비가 크게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가게에는 30·40대 소득 중상위층(4~7분위) 및 소비 상위층(6~10분위) 비중이 높았다. 실제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가계 소비 변화를 보면, 금리상승 손해층의 소비회복이 가장 부진했다.
반대로 ‘금리상승 이득층’ 가계는 소비를 늘렸다. 이들 가계에는 60대 고소득(10분위) 및 고자산층(10분위) 비중이 컸다.
이같은 금리익스포저 분석에 따르면 금리인상 영향은 소비에 대한 금리상승 영향의 통상적인 경로인 기간간 대체 효과에 더해 전체 소비를 20% 이상 추가로 위축시키는 것으로 드러났다. 금리가 1% 상승했을 때 기간간 대체 경로는 소비를 0.26%포인트 하락시켰다. 이에 더해 금리노출도 경로를 더하면 소비가 0.06%포인트 추가 하락했다. 가계가 평균적으로 저축을 늘리고 소비는 줄이는 가운데, 단기금융부채 비중이 높은 가계 소비둔화가 더욱 컸을 것이란 판단이다.
|
특히 금리 인하기 때 가계부채가 재차 상승하지 않도록 하는 금융당국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됐다. 정 과장은 “30·40대의 부채비율이 여전히 높은 상황에서 향후 금리가 낮아질 경우 가계부채가 재차 크게 확대되지 않도록 정책적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