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대한상의에 따르면 최 회장은 KAIST 대전 본원 KI빌딩 서남표 퓨전홀에서 ‘미래세대와의 AI 토크콘서트’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이번 행사는 KAIST 출신의 AI 분야 창업자 및 청년 연구자들과 산업계·학계 리더가 한자리에 모여 AI 기술의 현재와 산업의 미래, AI가 우리 사회에 미칠 영향에 대해 의견을 나누기 위해 열렸다.
|
이날 최 회장을 비롯해 정태희 대전상의 회장, 이형희 SK수펙스추구협의회 위원장, 이광형 KAIST 총장, 정송 KAIST AI대학원장, KAIST 학생 및 청년 예비 창업자 약 200명이 참석했다.
이광형 총장은 인사말을 통해 “이 자리를 통해 우리나라 AI 생태계 구축과 산업의 발전방향에 대한 젊은 창업자와 연구자들이 가진 생각을 기업과 학계가 함께 공유할 수 있는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베슬AI의 안재만 대표는 “AI가 기업의 전략·기획·제품 개발 등 전 분야를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며 “수많은 AI 모델과 에이전트를 통합 운영하는 ‘AI 오케스트레이션’이 미래기업의 핵심 인프라가 될 것”이라고 했다. 안 대표는 “단일 AI 모델로는 기업 경영의 효용성을 극대화할 수 없는 만큼 AI와 AI가 서로 협업할 수 있는 가교를 놔주는 전략을 기업들이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패널 토론 이후 현장에서는 질의응답 시간이 이어졌다. ‘AI 스타트업이 국내외 다른 기업과 어떻게 협업모델을 구축할지’ 등 사업에 대한 조언을 비롯해 ‘국내 AI 연구 인력들이 해외로 가지 않고 국내에서도 역량을 펼칠 수 있도록 지원해달라’는 건의도 쏟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