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컬 대학 사업은 대학 폐교 따른 지방 소멸을 막기 위해 교육부가 2023년 도입한 국책 사업이다. 생존 가능성이 큰 지방대 30곳을 뽑아 5년간 대학당 총 1000억원을 파격 지원하겠다는 게 사업의 골자다. 대신 대학에는 생존 전략에 해당하는 ‘혁신’을 요구하고 있다.
실제로 2023년에 글로컬 대학에 선정된 순천대는 기존 단과대학 체제를 아예 없애겠다는 파격을 내세웠다. 지역 산업과 연계된 △스마트팜스쿨 △애니메이션스쿨 △코스모스(우주항공·첨단소재)스쿨로 학제를 개편, 입학정원의 약 75%를 3대 특화 분야에 배정하겠다는 계획을 내걸어 사업에 선정됐다.
작년에 선정된 국립목포대는 글로컬 해양 특성화 대학으로 발전하겠다는 계획을, 대구한의대는 한의학의 과학화·산업화를 통한 해외 진출 전략을 제시해 선정될 수 있었다.
교육부는 2023년~2024년에 각각 10곳씩, 총 20곳을 글로컬 대학으로 지정했다. 올해는 글로컬 대학 선정의 마지막 해로 오는 5월 2일까지 예비 지정 신청서를 받아 5월 중 지정 결과를 발표한다. 이어 예비 지정된 대학을 대상으로 본지정 평가를 진행, 9월에 최종 10곳을 선정한다.
대학들은 예비 지정 단계에선 혁신기획서만 제출하면 되지만, 본지정 평가에선 실행계획서로 평가받는다. 윤 국장은 “예비 지정 단계에선 혁신성에 주안점을 두고 평가하지만, 본 지정 단계에선 기획서에서 제시한 아이디어의 실행 가능성을 본다”며 “해당 대학이 속한 지방자치단체의 행·재정적 지원 의지도 비중 있게 평가할 것”이라고 했다.
교육부가 제시한 예비 지정 평가 지표도 △혁신성(60점) △성과관리(20점) △지역적 특성(20점) 등 크게 3가지다. 본지정에선 △계획의 적절성(50점) △성과관리 적절성(20점) △지자체의 지원·투자계획(30점) 등을 평가하겠다고 했다.
교육부가 ‘대학의 벽을 허무는’ 혁신성을 강조하면서 대학 간 통합을 전제로 한 혁신기획서를 제출하는 경우가 많지만, 윤 국장은 “대학 간 통합이나 연합을 제시했다고 이에 가산점을 부여하지는 않는다”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왜 통합을 하는지, 통합 이후 무엇을 할 것인지가 더욱 중요하다”고 했다.
단순히 구조조정 차원에서의 대학 간 통합은 평가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얘기다. 통합 이후 유사·중복학과 개편 문제도 지역 산업과의 연계성이 중요하다고 했다. 캠퍼스 간 비슷한 학과가 있더라도 소재 지역의 산업수요를 충족할 수 있다면 유사 학과 운영도 용인된다는 의미다. 대신 윤 국장은 “통합을 전제로 글로컬 대학 사업에 선정되면 1년 내에는 대학 간 협상을 마무리하고 교육부에 통합신청서를 제출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글로컬 대학 지정이 취소될 수 있다”고 했다.
예비 지정 단계에선 2배수에 해당하는 20곳을 먼저 선정할 계획이다. 신규 신청 대학 중에서 15곳을, 지난해 예비 지정 후 본지정에서 탈락한 대학 중 최대 7곳을 우선 선정한 뒤 본지정 평가를 진행한다. 작년에 본지정에서 탈락한 영남대·충남대 등 7곳은 예비 지정 단계에선 비교적 선정 가능성이 높은 셈이다.
윤 국장은 지금까지 대전·광주·제주 소재 대학 중 글로컬 대학에 선정된 곳이 없지만, 이를 염두에 두고 ‘지역 안배’를 적용하지는 않겠다고 했다. 다만 “본 지정 단계에서 우열을 가리기 힘들 정도로 평가 결과가 유사할 땐 지역 안배가 가능하다”며 “지역 균형발전 차원에선 지역 안배가 어느 정도는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했다.
윤 국장은 “향후 탈락한 대학도 글로컬 사업에 도전하면서 고민의 결과로 도출한 혁신기획서가 해당 대학의 미래 청사진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지역혁신 중심 대학 지원체계(RISE)사업의 틀 안에서 혁신기획서 실행을 추진하면 될 것”이라도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