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TE가 반복되면 특별한 원인 없이 12개월 미만의 아이가 급작스럽게 숨을 쉬지 않는 상태에서 발견되는 영아급사증후군(SIDS, Sudden Infant Death Syndrome)이 잘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8일 사단법인 한국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경북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김여향 교수팀이 8년간(2005년1월∼2012년12월) ALTE 진단을 받은 12개월 이하 영아 29명(남아 16명, 여아 13명)의 여러 특징들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결과는 대한의학회가 발행하는 영문 학술지인 ‘대한의학회지’(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최근호에 소개됐다.
김 교수팀에 따르면 ALTE 진단을 받은 아기의 48%는 생후 1개월 이내였다. 다음은 생후 2개월(21%), 3월(17%), 4개월(10%), 8개월(4%) 순서였다.
김 교수팀은 논문에서 “ALTE 아기 12명(41.4%)은 조산아(이른둥이)였고, 8명(27.6%)은 저(低)체중아였다”며 “15명(51.7%)은 첫째 아이였고, 어머니의 흡연력ㆍSIDS 가족력은 없었다”고 밝혔다.
ALTE 아기에게 나타난 가장 흔한 증상은 무호흡(69%)과 피부색 변화(58.6%)였다. ALTE를 일으킨 원인으론 호흡기 감염 등 호흡기 질환이 가장 많았다(13명, 44.8%). 다음은 경련성 장애 등 신경학적 이상(4명), 감염(3명) 등의 순이었다.
ALTE 아기들의 평균 입원기간은 8일이었다. 최장 38일간 병원에서 지낸 아기도 있었다. 20명은 병원에서 ALTE 증상이 재발했고 2명이 생명을 잃었다. 이중 한 명은 입원 25일 뒤 연쇄상구균 감염에 따른 수막염으로 숨졌다. 다른 한 명은 입원 18일 뒤 사망했으며 사인은 불명이다.
김 교수팀은 논문에서 “4명은 퇴원 후 재발했고 4명은 나중에 발달 이상를 보였다”고 전했다. 김 교수팀의 연구결과는 ALTE 아기를 본격적으로 다룬 국내 첫 논문이다. ALTE는 미국에서 1986년 처음 규정된 병이다. 외국 연구에선 ALTE의 주 원인으로 호흡기 감염, 신경학적 이상, 선천성 심장 기형, 아동 학대 등이 꼽혔다. 또 ALTE 진단을 받은 상당수 영아가 수면 중 무호흡 장애를 보였다.
대한의학회는 “아기는 똑바로 눕혀서 재워야 하고, 너무 푹신한 이불보다 약간 딱딱한 이불이 낫다”며“뒤통수를 예쁘게 만들어주고 심장을 튼튼하게 해 준다며 아기를 엎어 재우는 부모가 있는데 엎어 재우는 것은 SIDS 유발 위험 요인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 관련기사 ◀
☞ 호흡곤란 폐질환 환자 감소..흡연율 하락 덕분
☞ 학력 따라 당뇨병 발병 위험 최고 8배 차이
☞ 갈수록 젊어지는 안구질환 발병 연령층.. 대처 방법은?
☞ 뇌졸중 발병시 골든타임은 3시간
☞ 어느 날 갑자기 발병하는 뇌졸중, 신속함이 생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