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알리바바에 이어 디디추싱 등 자국 플랫폼 업체에 대한 강도 높은 제재 배경으로 빅테크 기업의 급속한 성장이 현 중국 정치 및 경제체제를 위협할 수 있는 위험요인이라는 측면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미국과의 기술패권 경쟁하에서 중국의 기술과 데이터를 보호하고자 하는 기술보호주의 정책 강화 기조도 무시 할 수 없는 요인”이라고 말했다.
이어 “디디추싱 사태를 계기로 중국 정부가 100만명 이상의 고객을 확보한 기업의 해외증시 상장 시 중국 당국의 사전 허가를 얻도록 하는 법률 개정을 추진 중임은 기술 보호주의 강화 기류를 대변해 주고있다”고 덧붙였다.
박 연구원은 이러한 중국의 기술 보호주의가 정부의 정보 독점을 통해 경제 및 사회를 통제하는 빅브라더 모델로의 전환일 수 있다고 판단했다. 중국이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를 도입하려는 점도 빅브라더 패러다임 전환의 한 사례일 수 있다고 해석했다. 중국 정부는 ‘통제된 익명성’이란 개념을 제시해 인민은행에 저장된 디지털 위안화의 거래기록을 당국 의지에 따라 모두 볼 수 있는 구조를 만들었다.
그는 “디지털 위안화 도입을 통해 중국 빅테크 기업들이 이미 만들어 놓은 디지털 생태계에 중국 정부가 무임승차할 수 있고 디지털 생태계의 통제 역시 용이할 수 있다”며 “법정화폐인 디지털 위안화가 알리페이, 위챗페이 등 지급결제 서비스를 점진적으로 대체하면서 디지털 경제 생태계를 장악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중국 정부의 빅브라더형 디지털 패러다임 전환은 민간 부문의 자율성을 저해할 수 있단 측면에서 투자자 입장에서 볼 때 불안 요인으로 평가된다. 미국과의 기술 패권 경쟁에서 살아남으려는 고육책이지만, 중국 주요 빅테크 기업들이 해외 시장에서의 자금조달이 여의치 않을 수도 있다.
박 연구원은 “기술 보호주의를 통한 독자적인 디지털 생태계 구축과 성장에는 한계도 있어 잠재적 중국 경제 위험 요인일 수 있다”며 “참고로 중국 기업이 2020~2021년 미국 증시에 신규 상장으로 조달한 자금 규모는 260억달러에 달한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