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억원 차관은 이날 기재부 내 거시경제, 금융 관련부서와 국제금융센터가 참여하는 거시경제금융 점검회의를 주재했다. 미국이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결과를 발표한 이후 세계 글로벌 금융시장 동향과 우리 경제·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을 점검하고 대응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서다.
|
FOMC 발표 당일 국제금융시장은 파월 의장 발언을 완화적으로 평가하며 위험선호가 확대됐지만, 지난 밤에는 미국의 통화긴축 우려가 재차 부각되며 전일 상승분을 모두 되돌리며 변동성을 키웠다.
이억원 차관은 “최근 글로벌 금융·외환시장의 동조성이 매우 높아졌다”며 “이에 따라 우리 금융시장의 변동성도 불가피하게 확대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다만 “현재까지 우리 시장 영향이 다른 국가들과 비교해 두드러지는 상황은 아니다”라며 “우리 경제의 펀더멘털과 대외 신인도, 대외 충격에 대한 대응 능력 등이 견조하다”고 판단했다.
이 차관은 이어 “우리 금융시장의 주요 지표는 주요국과 유사한 수준에서 움직이고 있고, 주가는 주요국과 비교해 밸류에이션 부담이 낮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국제통화기금(IMF)이 세계경제 성장전망을 하향 조정하며 우리 경제 성장 전망도 낮췄지만, 세계 및 주요 선진국 대비 상대적으로 조정 폭이 적었다”면서 “또 거리두기 해제 조치 등에 따른 경제심리 회복 등은 지표 흐름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긴장을 늦추지 않고 위험 요인을 모니터링하며 선제 대응할 방침이다.
이 차관은 “세계 거시경제, 금융시장 환경이 빠르게 전환되는 가운데 우리 경제를 둘러싼 대외여건의 높은 불확실성이 지속하고 있다”며 “당분간 우리 금융·외환시장이 각종 대내외 변수에 민감하게 반응할 우려가 크다고 보고, 국내외 경제·금융상황을 수시로 점검하면서 위험 요인에 선제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각별한 경각심을 가지고 시장 상황과 주요 위험 요인을 예의주시하는 한편, 관계기관 간 긴밀한 공조와 대응 체계를 유지하면서 필요 시 과감하고 신속하게 시장안정조치를 가동하는 등 적극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