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신기술을 접목한 폐합성수지의 시멘트 소성로 연료, 친환경 시멘트 원료 재활용으로 지난해 대형생활폐기물 재활용률 77%를 100% 가까이 늘려 자원 순환 경제를 더욱 공고히 한다.
광명시의 대형생활폐기물 재활용은 기존 소각과 달리 탄소중립 실현 외에도 처리비용 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실제 소각하는 경우 처리비와 수송비, 소각에 따른 처분 부담금 등 각종 비용이 톤당 22만7000원으로, 재활용하는 경우 톤당 15만3000원이 드는 것과 비교해 비용이 약 32.6% 절감된다.
광명시는 지난해 발생한 약 1500톤의 대형생활폐기물 재활용 과정에서 발생한 폐합성수지에 인구 증가를 반영하여 올해 발생량을 1710톤으로 가정하는 경우, 올해 약 1억2681만원이 절감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폐합성수지를 시멘트 소성로 연료로 재활용하게 되면 화석연료 사용량이 급격히 감소해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효과도 기대된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기준을 적용하면 폐합성수지 1710톤을 소각하는 경우 4617톤의 온실가스가 배출되는데, 친환경시멘트 또는 소성로 연료로 재활용하면 배출량이 889.2톤으로 약 80.7% 대폭 줄어들 것으로 추정된다는 것이 시의 설명이다.
광명시는 지난 14일 폐합성수지 재활용 업체와 계약을 체결했으며, 사업 시작 1주일 만에 폐합성수지 32톤을 재활용 처리하는 등 원활하게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한편, 광명시는 지난해 순환경제 체계를 구축하고 폐목재, 고철, 폐매트리스 등을 선별해 대형생활폐기물 77%를 재활용했다. 이는 2023년 41%와 비교해서 36%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이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지난해 행정안전부 주관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 지방자치단체분야에서 국무총리상인 최우수상을 수상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