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韓, 中입국자 모욕적 대우…방역 강화 정치적 쇼”

김윤지 기자I 2023.01.11 09:26:50

중국 관영 영자매체 글로벌타임스 사설
“‘한국인 비자 발급 제한’, 합리적 대응” 주장
“중국인에 옐로카드 걸고 범죄자 취급” 발끈
SCMP “서방에 보복해도 韓보다 강도 약할것”

[베이징=이데일리 김윤지 특파원] 중국이 자국 여행객에 대한 한국의 방역 조치가 ‘모욕적’이라면서, 한국인 단기비자 발급 중단에 대해 “상호주의 원칙에 따른 합리적이고 적절한 대응”이라고 주장했다.

[사진=이데일리 방인권 기자]
11일 중국 관영 영자매체 글로벌타임스(GT)는 ‘한국은 중국발 입국자의 폭로에 대한 합리적인 설명을 해야 한다’는 제목의 사설을 통해 이 같은 주장을 내놨다. 전일부터 주한중국대사관 및 총영사관은 방문, 상업무역, 관광, 의료 및 일반 개인사정을 포함한 한국 국민의 중국 방문 단기비자 발급을 중단했다.

◇ “中 이전 방역, 엄격했지만 동등 대우”

GT는 한국이 중국발 입국자에 대해 차별적 입국 제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GT는 “(한국 도착 후) 비행기에서 내려 옐로 카드를 발급 받아 목에 걸고 범죄자처럼 지정된 장소로 끌려갔다”, “(핵산·PCR 검사 결과 양성 반응이 나와) 입국이 거부된 승객은 작고 어두운 방으로 이송됐으며, 비용을 지불함에도 침대와 온수가 없는 등 매우 열악한 환경에 머물러야 했다” 등 중국 네티즌들의 주장을 소개하면서 “온라인상에서 공분을 불러 일으켰다”고 설명했다.

또한 GT는 지난 2~9일 중국발 입국자의 PCR 검사 누적 양성률이 17.5%였으나 10일 5.5%로 감소했다는 점을 근거 삼아 “이 비율이 한국의 공중 보건에 위협이 되는지, 한국의 방역 강화 조치가 적절한지 여부를 증명할 과학적 증거가 없다”고 했다. GT는 한국이 미국과 일본 등에서 코로나19 감염이 절정에 달했을 때 이들 국가에서 출발한 여행자에 대해 동일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면서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한국의 방역 강화 조치는)정치적 쇼로 의심된다”고 반발했다.

중국은 지난달 ‘위드 코로나’로 기조를 전환하기까지 3년 가까이 해외 입국자에 대한 자부담 시설 의무 격리와 PCR 검사를 시행했다. 이에 대해 GT는 “중국의 이전 방역 정책은 엄격했지만 어느 나라에 대해서도 차별 정책을 시행한 적이 없으며 과학적이고 현실적인 태도로 동등하게 대우했다”고 자평했다.

GT는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한국 관광 산업의 가장 큰 수입원이 중국 관광객인 만큼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한국의 방역 강화 조치가 자국에 먼저 타격을 입혔다면서 “중국과 한국은 가까운 이웃이자 떼려야 뗄 수 없는 파트너”라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은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태도를 잃어서 안된다”고 덧붙였다.

◇ 中학자 “중국 의존도 높은 韓, 쉬운 타깃”

중국이 코로나19 감염자 폭증에도 국경을 개방하자 한국과 일본, 미국 등 주요국들은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방역을 강화했다. 한국은 이달 말까지 중국 내 공관에서 단기 비자 발급과 중국발 항공편 추가 증편을 제한했다. 또한 2월 말까지 중국발 입국자에 대해 출국 전 48시간 이내 핵산(PCR) 혹은 24시간 이내 신속항원검사 음성 증명 제출과 함께 입국 후 PCR 검사를 의무화했다. 이에 반발한 중국은 10일 한국과 일본 국민에 대한 일부 비자 발급 제한으로 반응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이 그외 국가로 추가적인 ‘보복 조치’에 나설 수 있다고 내다봤다. 알프레드 우 싱가포르 국립대 리콴유공공정책대학원 교수는 중국 보복 조치에 대해 “중국이 이런 종류의 일을 하는 것은 매우 일반적이며, 이는 일종의 체면 문제”라면서 “중국 당국은 자신들이 매우 강하다는 것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런가 하면 베이징 인민대학 국제관계학과 교수인 스인훙은 “한국은 중국의 이웃이며, 한국 경제는 중국에 크게 의존하고 있기에 한국인을 공략하기 쉬웠던 것”이라고 중국이 첫 번째 보복 대상이 된 이유를 설명하면서 “서방 국가에 보복하더라고 통상 한국에 가한 보복 조치 강도보다 약할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