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는 산업통상자원부, 한국표준협회와 공동으로 ‘대한상의 ESG경영 포럼’을 열고 ESG 기업공시 의무화 현황과 대응방안 등 최근 ESG 현안과 시사점에 관해 논의했다.
대한상의 ESG경영 포럼은 세계적으로 경제·경영·사회 전반에 걸쳐 화두가 되고 있는 ESG에 대해 국내 산업계의 대응역량을 강화하고 리스크 관리와 정책지원 방법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ESG 기업공시 의무화 현황과 대응방안’을 주제로 발표에 나선 정도진 중앙대 경영학부 교수는 “ISSB(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에서 만들고 있는 ESG 공시기준이 향후 글로벌 스탠다드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높다”며 “국내 대기업과 중견기업은 물론 같은 가치사슬 안에 존재하는 중소기업도 올 초 발표된 ISSB ESG 공시기준 초안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또 “2011년 국제회계기준(IFRS)을 전면 도입한 금융위원회가 이번 ISSB 기준 역시 원안 그대로 전면 도입을 할 수 있어 많은 우려와 관심을 동시에 받고 있다”고 분석했다.
정 교수는 “현재 ISSB 공개초안은이 전면 도입되면 투자자의 의사결정에 유용하지도 않을 ESG 워싱 등의 자료가 나올 가능성은 높은 반면, 새로운 대규모 규제로 기업은 불필요한 비용을 부담하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ESG 워싱이란 기업이 실제로 ESG경영을 하고 있지 않으면서 마치 외부에 ESG경영을 하는 것처럼 위장하는 것을 뜻한다.
그는 이어 “국내 기업과 산업 특성에 맞는 지속가능성 공시기준을 제정하되 국가 전략적인 관점에서 가장 효율적인 공시기준 의무화 로드맵을 마련해야 한다”며 “전체적으로 ESG 공시 의무화 관련 기업의 선택권을 넓히고 ISSB 기준을 점진적으로 도입해 기업 부담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발제자로 참석한 김동수 김앤장ESG경영연구소장은 ‘2023년 ESG 국내외 주요 이슈 전망’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 소장은 “내년 ESG 경영의 최대 화두는 인류가 직면한 환경적, 사회적 문제를 어떤 기업이 해결해 사업모델로 만들어 내는지 여부”라며 “기업들이 사회적 요구를 부담으로만 여기지 말고 새로운 사업 창출 기회로 여겨 적극적으로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또 “내년 ESG 키워드는 ESG 혁신, ESG 기술, ESG 투자, ESG 사업모델, 그리고 소셜(Social)이 될 것”이라며 “기업의 혁신, 기술개발, 투자, 사업분야 다각화 등 기업의 여러 경영활동에서 ESG가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진 자유토론에서 참석자들은 ESG 공시 의무화는 피할 수 없는 세계적 추세라는 데에 공감했다. 또 정부가 기업의견을 최대한 반영해 경영에 부담이 되지 않는 방향으로 정책을 도입하고 기업은 투자 및 기업가치 향상을 위한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선진국에 비해 ESG경영을 늦게 시작한 국내 경제계의 상황을 감안해 기업에게 부담이 되지 않는 방향으로 정책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며 “기업도 ESG 공시 의무화를 단순 규제로만 받아들이지 말고 투자와 기업가치 향상을 위한 기회로 활용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