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일(현지시간) AP통신, 가디언 등에 따르면 카니 총리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지난주 트럼프 대통령과 전화통화에서 관세에 대한 보복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며 미국산 자동차에 25% 맞불 관세를 물릴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주 발표한 수입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가 이날 발효된 데 따른 대응이다. 이 관세는 다음달 3일부터는 150개 자동차부품으로 확대 적용될 예정이다. 다만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 준수 제품에 대해선 관세 적용 면제 조치를 유지하고 있다.
카니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한 것처럼 자동차부품에는 관세를 부과하지 않을 것”이라며 “캐나다인들이 통합 자동차 부문의 이점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자동차 부품은 캐나다 온타리오나 미국 미시간 공장에서 완전히 조립되기 전에 캐나다-미국 국경을 여러 번 오갈 수 있다고 AP통신은 짚었다.
카니 총리는 “우리도 어쩔 수 없이 이러한 조치(보복 관세)를 취하는 것이다. 우리는 미국에서 최대 영향을 미치고 캐나다에서는 최소 영향을 미치기 위해 의도된 방식으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행동은 캐나다 와 전 세계에 반향을 일으킬 것”이라며 “그것들은 모두 부당하고 정당화되지 않으며 우리의 판단으로는 잘못된 것”이라고 비판했다.
카니 총리는 또 “미국은 지난 80년간 글로벌 경제 리더십을 발휘해왔고, 이 기간 미국은 신뢰와 상호존중에 근거한 동맹을 강화하면서 자유롭고 개방된 무역을 옹호했다. 하지만 이제 그 시기는 끝났다”며 “미국이 더 이상 자유롭고 공정한 무역을 주도하고 싶어하지 않는다면 캐나다가 주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새로운 세상에서 우리는 스스로를 돌봐야 한다”며 우리는 캐나다인이기 때문에 항상 서로를 돌볼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