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가구 중 2가구는 반려동물 키우는 호주…‘프리미엄 사료’ 잘 팔리네[食세계]

김은비 기자I 2025.01.11 10:00:00

호주, 반려동물 가족 일원 인식 문화 확산
돌봄 위한 유급 휴가 제도 도입 청원까지 등장
덩달아 ''펫 푸드'' 시장 쑥…비싸도 건강한 사료로
다만 까다로운 수입 규정은 넘어야 할 산

[세종=이데일리 김은비 기자] 전세계에서 반려동물 보유율이 가장 높은 국가중 하나로 꼽히는 호주에서, 펫 시장이 커지고 있다. 반려동물을 가족으로 인식하는 문화가 확산하면서 가격이 비싸더라도 맛과 건강이 좋은 프리미엄 사료의 수요도 점차 커지고 있다.

(사진=이데일리 DB)
11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코트라)에 따르면 2024년 기준 호주는 3가구 중 2가구가 반려동물을 키울 정도로, 전 세계에서 반려동물 보유율이 높은 나라 중 하나다. 데이터 분석 기관인 스태티스타에 따르면 전체 가구의 절반이 개를 키우고, 3분의 1이 고양이를 키우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사회적 거리두기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반려동물 입양이 더 늘어났다는 분석이다. 강아지 입양이 급증했는데, 당시 생겨난 신조어 ‘팬데믹 퍼피(Pandemic puppy)’가 이같은 분위기를 방증한다.

이처럼 반려동물 입양이 늘어나면서, 호주에서는 점차 반려동물을 가족의 일원으로 여기는 문화가 커지고 있다. 많은 호주 가정에서는 반려동물을 털이 달린 아기라는 의미의 ‘퍼 베이비(fur baby)’라고 부르며 자녀와 마찬가지로 돌보는 경향이 있다. 호주에서는 반려동물 돌봄을 위한 유급 휴가 제도를 도입하자는 청원까지 등장할 정도다. 실제로 호주 최대 은행인 커먼웰스 은행(Commonwealth Bank)에서는 반려동물 장례를 위한 유급 휴가를 제공하고 있다.

덩달아 펫 시장도 커지고 있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호주 반려동물 산업 시장 규모는 2024년 수익 기준 57억 호주 달러 (5조 2000억 원)다. 2019년부터 연평균 6.0%로 성장해 왔다. 이 수치는 2029년까지 연평균 5.9%로 증가해, 2029년에는 75억 호주 달러(7조 2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제품별로 보면 반려동물 사료 시장 규모가 45억 호주 달러(4조 1000억 원)에 달해, 전체 반려동물 용품 시장의 약 80%를 차지했다. 반려동물 보험을 포함한 여러 가지 반려동물 용품의 시장 규모는 12억 호주 달러(1조 1000억 원)를 나타냈다.

◇ 건강 관심에 프리미엄 사료 인기…보조식품 시장도 ‘쑥’

이 중에서도 ‘프리미엄 사료’가 인기다. 반려동물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짐에 따라, 천연 및 유기농 제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제품의 포장에서 ‘천연’, ‘인공향료 없음’, ‘인공색소 없음’과 같은 문구를 자주 찾아볼 수 있다. 또 수의사와 협력해 사료를 개발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이와함께 반려동물 건강 보조식품 시장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호주의 사료 시장 성장세는 한국의 관련 기업들에 기회요인이 되고 있다. 실제 반려동물 사료 시장의 전체 수입규모는 2023년 기준 3억5000만 달러다. 태국에서 수입되는 사료가 1억 2000만 달러에 달해 전체의 35%를 차지하며 가장 많았다. 한국은 2020년부터 호주로 반려동물 사료를 수출하기 시작해 2022년 1792억 달러로 정점을 찍었다가 2023년에는 1116억으로 감소해 전체 5위를 기록했다.

다만 까다로운 수입 규정은 진입 장벽으로 꼽힌다. 반려동물 사료의 경우 식품 수입 규정과 마찬가지로 복잡하고 어려운 수입 절차를 거쳐야 한다. 한국은 김제에 공장을 둔 글로벌 반려동물 사료 브랜드 로얄캐닌(Royal Canin)이 2020년 6월 처음 수출 승인 절차를 통과하고, 대량 수출에 성공한 바 있다.

코트라 관계자는 “시장 흐름에 맞춰 친환경적이고 고품질의 제품을 개발하고, 이를 강조하는 마케팅 전략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