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최악의 상황”…트럼프 상호관세 발표에 충격 받은 시장

김윤지 기자I 2025.04.03 07:35:30

S&P500부터 니케이 선물까지 줄하락
亞에 주요 생산지 둔 애플·나이키 급락
금 현물 오르고 국제 유가 하락 반전

[이데일리 김윤지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국가별 상이한 상호관세 정책을 발표한 가운데 시장은 충격에 빠진 모습이다.

2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워싱턴 DC 백악관 로즈 가든에서 표를 들고 상호관세 연설을 하고 있다.(사진=AFP)
이날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 이후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 선물은 1.6% 하락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선물은 거의 2% 하락 중이다. 일본 니케이 225 지수 선물도 아시아 증시 개장을 앞두고 2% 하락했다.

시간외 거래서 주요 종목들도 줄줄이 하락했다. 중국을 주요 생산 기지로 둔 애플은 시간외 거래서 6%대 하락 흐름을 보여줬다.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에서 제품 대부분을 생산하는 나이키도 시간외서 6%대 하락 중이다.

소매 가격 인상 우려로 인해 미국 대형 소매업체 주가도 시간외도 밀리고 있다. 아마존이 시간외서 5% 가까이 하락 중으로, 월마트 6%대, 베스트바이 6%대, 타깃 5%대 등 여타 소매업체들도 시간외서 급락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현물은 상승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장중 상승 마감한 국제유가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로 하락 반전하고 있다. 10년물 미국 국채금리는 전날보다 50bp(1bp=0.01%포인트) 오른 4.127%에 거래되고 있다.

아카데미 증권의 거시 전략 책임자 피터 치어는 “사람들이 예상했던 것보다 수치가 충격적으로 높고, 여러 면에서 설명이 되지 않는다”면서 “이건 최악의 상황”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선 높은 관세 수준이 추가 협상을 위한 출발점이라고 해석했다. 야누스 헨더슨 인베스터스의 멀티에셋 글로벌 책임자 애덤 헤츠는 “국가별로 부과된 눈이 튀어나올 만큼 높은 관세는 ‘협상 전술’임을 강하게 드러내며, 이는 앞으로도 시장을 불안하게 만들 것”이라며 “다행히도, 이 말은 여기서부터 관세가 대폭 낮아질 여지가 많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MUFG 증권의 미국 거시 전략 책임자 조지 곤칼베스는 “저는 이 ‘해방의 날’을 ‘관세 대축제(tariff-palooza)’라고 부른다”라며 “이건 일부러 예측할 수 없게 만든 것으로, 전략의 일부”라고 말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5일부터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품목에 10%의 기본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의 일부 주요 무역 상대국들에 대해서는 오는 9일부터 그보다 더 높은 관세가 부과되는데, 한국산 모든 제품에 대해서는 25%의 상호관세를 부과된다. 한국의 관세 및 비관세 무역장벽에 따라 미국 기업이 받는 차별을 해소한다는 명목이다. 이와 동일한 이유로 여타 국가별 상호관세율은 △중국 34% △유럽연합(EU) 20% △베트남 46% △대만 32% △일본 24% △인도 26% 등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른 국가은 미국 제품에 막대한 관세를 부과하고 산업을 파괴하기 위해 터무니 없는 비금전적 장벽을 만들었다”라면서 “미국 납세자들은 50년 이상 약탈당했지만 더는 그런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오늘 드디어 우리는 미국을 우선시할 것”이라면서 “이것이야 말로 미국의 황금기”라고 주장했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