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깜빡이' 켠 한은, 차선 변경은 언제…기준금리 재차 동결(상보)

하상렬 기자I 2024.08.22 09:50:49

한국은행 금통위, 13회 연속 기준금리 동결
물가 둔화세·환율 안정…가계부채는 부담
美 9월 금리인하 가시화…한은 완화 신호 주목

[이데일리 하상렬 기자] 한국은행이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재차 동결했다. 작년 2월부터 13차례 연속 동결 기조가 이어진 것이다. 물가가 기조적인 둔화 흐름을 보이고 있고, 원·달러 환율 레벨도 낮아졌지만, 가계부채 등 금융안정 측면 리스크를 고려해 현재 긴축 수준을 유지하겠다는 결정을 내린 것으로 풀이된다.

[사진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달 11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물가·환율 안정…가계 빚은 부담

한은 금통위는 22일 본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3.5%로 동결했다. 이데일리가 국내 증권사 애널리스트와 경제연구소 연구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 11명 중 9명이 금리 동결을 전망한 것과 일치한다.

한은은 작년 1월 금리를 3.25%에서 3.5%로 올린 뒤 1년 7개월째 금리를 동결하면서 금리 인상의 파급 효과를 점검하고 있다. 최장 기간 금리 동결 기록을 경신했다.

한은은 현재 긴축 기조를 유지하면서 물가 둔화 추세와 함께 성장, 금융안정 등 정책 변수 사이 상충관계를 점검하면서 금리 인하 시기를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물가상승률이 목표(2%) 수준으로 점차 수렴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둔화 추세를 좀 더 살피고 외환시장과 수도권 주택가격, 가계부채 등이 금융안정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한다는 것이다.

물가는 하향 안정화되고 있다고 판단된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년동월비 2.6%를 기록해 넉 달 만에 둔화세가 꺾였지만, 일시적인 현상이라는 평가다. 물가상승률은 올 1월(2.8%) 2%대로 내린 뒤, 2~3월 3.1%로 높아졌다가 △4월 2.9% △5월 2.7% △6월 2.4%로 오름폭이 축소돼왔다.

식료품 및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안정세가 유지되고 있다. 근원물가는 지난달 전년동월비 2.2% 오르는데 그쳐 전월과 같은 상승률을 보였다. 근원물가는 지난 △3월 2.4% △4월 2.3% △5월 2.2% △6월 2.2% 등 기조적으로 둔화하고 있다.

한은은 이달부터 물가가 재차 둔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 김웅 한은 부총재보는 지난 2일 물가상황 점검회의 결과 “앞으로 물가상승률은 작년 유가·농산물가격 급등에 따른 기저효과가 크게 작용하면서 다시 둔화 흐름을 나타낼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은의 큰 고민거리던 환율은 최근 비교적 안정됐다. 1350~1390원대에 갇혀 있던 환율이 이번 주 1330원대로 내렸기 때문이다. 환율은 지난 21일 오후 3시 30분 기준 전 거래일 종가(133.2원, 오후 3시 30분 기준)보다 3.4원 오른 1336.6원에서 거래됐다.

다만 가계대출 증가세는 한은이 섣불리 금리를 내리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다. 최근 가계대출 증가세는 수도권 집값 상승세와 맞물려 있는데, 금리를 인하한 결과 가계대출과 집값 상승을 부추기는 모양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은행권 가계대출잔액은 지난달 5조5000억원 늘어난 1120조8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월(5조9000억원)보다 증가 규모가 소폭 줄었지만, 4월 이후 매달 5조원 이상의 증가폭을 보이고 있다. 지난달까지 올해 누적 가계대출 증가액은 25조9000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10조원)의 두 배 이상이다.

주택담보대출이 가계대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주담대 증가폭은 지난 △5월 5조7000억원 △6월 6조2000억원 △7월 5조5000억원으로 최근 높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한은 관계자는 “5월 이후 서울 아파트를 중심으로 주택 매매가 늘어난 것이 시차를 두고 주담대 실행으로 이어졌다”며 “당분간 가계 대출 증가세가 좀 더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사진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달 11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금리 인하 깜빡이 켠 채…방향 전환은 언제?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달 금통위에서 금리 인하 시기를 검토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당시 기자회견에서 현 상황을 자동차에 비유, 깜빡이를 켜고 차선을 바꿀 준비를 하는 단계라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5월에는 자동차 깜빡이를 켠 상황이 아니라 차선을 바꿀지 고민하는 단계라고 했다면, 현 상황은 물가가 안정을 보이는 만큼 차선을 바꾸고 적절한 시기에 방향 전환을 준비하는 상황이 조성됐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전방 위험 요인’으로 환율, 집값, 가계대출을 꼽았다. 그는 “언제 방향 전환을 할지는 외환시장, 수도권 부동산 가격, 가계부채 움직임 등 위험 요인이 있어서 불확실하고,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세 요인 중 환율은 다소 안정된 상태이기에 한 가지 부담은 덜었다고 볼 수 있다. 집값 상승과 가계부채 증가세는 여전한 걸림돌이지만, 금통위원들은 금리 인하 소수의견을 통해 시장에 신호를 줄 수 있다. 혹은 향후 3개월 뒤 금리 수준을 언급하는 한국형 포워드 가이던스에서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을 낸 위원이 늘어날 수도 있다. 지난 금통위 당시 위원 2명이 3개월 뒤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을 낸 바 있다.

시장에선 10월 금리 인하를 예상하고 있다. 이데일리가 실시한 경제전문가 설문조사에서 전문가 11명 중 8명이 10월 금리 인하를 전망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