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만 막대한 예산 소요는 물론 국정 혼란과 안보 공백과 같은 우려는 여전하다. 또 일각에선 윤 당선인이 제대로 된 여론 수렴 없이 이전을 강행하며 `국민 소통을 강화하겠다`는 의도를 스스로 퇴색시킨다는 비판도 나온다.
◇대통령 집무실·비서실·기자실 한 청사에
윤 당선인과 인수위 청와대 태스크포스(TF)팀이 20일 기자회견에서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10개 층으로 이뤄진 국방부 청사 건물에는 대통령 집무실을 비롯해 비서실과 기자실이 들어선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대통령 집무실과 비서실이 어디에 배치될 지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없었지만, 대통령 집무실 가까이에 비서실장과 정무·공보를 맡은 비서진들의 업무 공간을 두겠다는 건 그간 `구중궁궐`로 불렸던 청와대 구조에서 벗어나 참모들과 적극적으로 국정을 논의하겠다는 구상으로 읽힌다.
기자들이 사용할 기자실도 일단 1층에 설치할 계획이다. 윤 당선인은 이날 “물리적 공간의 문제보다 더 중요한 것은 소통의 의지라는 점을 잘 알고 있다”며 “집무실 1층에 프레스센터를 설치해서 수시로 언론과 소통하는 대통령이 되겠다”고 약속했다. 이는 기존 청와대가 대통령 집무실이 있는 본관과 비서실(여민관), 기자실(춘추관) 등이 별개의 건물에 따로 떨어져 즉각적인 소통이 어려웠다는 문제의식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같은 계획은 대통령 집무실인 오벌 오피스와 나란히 내각 회의실·부통령실·비서실장실·프레스룸 등이 배치된 미국 백악관 집무동인 웨스트윙 구조에 착안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 윤 당선인은 “대통령 집무실이 있는 청사의 필요 최소한의 범위 내에만 백악관처럼 낮은 담, 펜스를 설치하고 시민들이 들어올 수 있게 할 것”이라고도 했다.
◇시민 불편시 집무실 부근에 관저 신축 검토
윤 당선인은 5월10일 취임을 하자마자 바로 용산 집무실에 입주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임시 관저는 한남동에 위치한 육군참모총장 공관을 리모델링해 활용할 전망이다. 관저로 쓰일 한남동 공관과 국방부 집무실까지 출퇴근 거리는, 교통 통제 시 차량으로 3~5분 정도 소요될 것으로 추산한다.
다만 인근 시민 불편을 고려해 상황에 따라 집무실 근처에 관저를 신축하는 방안도 고려한다는 방침이다. 청와대 이전 TF 팀장인 윤한홍 국민의힘 의원은 “(관저 신축은) 아직 검토는 안 했다”면서도 “대통령이 밖에서 출퇴근하는 게 교통 통제라든지 계속 불편이 야기된다면 집무실 근처에 관저가 있는 게 맞지 않나 하는 검토는 있었다”고 설명했다.
곧 반환 받을 국방부 남쪽에 위치한 용산미군기지 부지의 경우 시민공원으로 조성, 국민을 직접 만나는 공간으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203만㎡ 용산미군기지 부지 가운데 10% 정도인 21.8만㎡만 반환이 완료됐고, 올해 6월 쯤 50만㎡ 상당이 반환될 예정이다.
|
◇안보 공백 등 비판 여론 극복 `과제`
물론 마냥 장밋빛 미래만 그려지는 건 아니다. 국방부 이전으로 인한 안보 공백을 비롯해 주변 교통 통제로 인한 인근 주민들의 출·퇴근길 불편 등을 우려하는 목소리는 여전하다. 여기에 더불어민주당은 `졸속 추진`이라며 시작부터 발목잡기에 나선 상황이다.
윤 당선인은 안보 공백 논란에 대해 “군부대가 이사한다고 해서 국방 공백이 생긴다고 하는 것은 납득하기 어려운 일”이라며 “과거에 다 근무하고 충분히 경험 있는 분들이 계획을 세운 것이며 가장 빠른 시일 내에 가장 효율적으로 이전을 완료해 안보에 지장이 없도록 하겠다”고 확언했다.
주민 불편이 예상된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국민과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것도 국민께 봉사하기 위한 것”이라며 “시급한 문제를, 대통령 독단이 아니라 국민과 충분히 소통하면서 결정하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윤 당선인의 국정 운영 방향성이 시작부터 시험대에 올랐다는 우려섞인 시선도 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언론과 자주 브리핑을 하고 언론을 통해 국민 목소리를 경청하겠다는 건데, 그걸 지금 청와대에선 하지 못하는 것인가”라고 반문하며 “집무실 이전은 중요한 문제라 한 번이라도 공청회를 해야 했으며, 자칫 초기 국정 운영에서 혼선을 빚을 수도 있는 사안”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