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내용은 시장이 우려했던 최악의 시나리오라고 평가된다”며 “모든 국가에 적용되는 보편적 관세율은 10%지만 소위 더티 15개국 등에 부과되는 관세율은 시장의 예상보다 높은 수준을 기록했고, 더욱이 20%의 상호관세율이 부과된 EU보다 한국을 포함한 주요 아시아 국가에 대한 상호관세율이 예상보다 높았다”고 밝혔다.
박 연구원은 “단적으로 금융시장에 충격을 미칠 공산이 커졌으며 미국 경기 둔화 및 물가압력을 높일 수 있는 변수로 판단된다”며 “최소 2분기까지 상호관세 시행이 미국 경제와 물가에 미치는 악영향을 주시할 수 밖에 없게 됐다”고 평가했다.
그는 “또 다른 변수는 미국 상호관세에 대한 주요국의 재보복 수위 및 강도”라며 “당장 34%의 추가 관세를 부과받게 된 중국은 강도 높은 맞보복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돼 미·중간 갈등이 더욱 확산된 수 밖에 없게 됐다”고 밝혔다.
이어 “EU 역시 맞대응에 나설 공산이 높다. 아시아 주요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호관세율이 낮다고 하지만 20%의 상호관세가 부과됐다”며 “이미 EU 차원에서 관세 조치에 대응해 경제적 지원방안이 담긴 ‘비상 계획’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전했다.
박 연구원은 “관련해 베센트 재무장관도 ‘상대국들이 보복할 경우 관세가 인상된다’며 맞대응하지 말라고 경고하고 나선 만큼 향후 주목해야 할 변수는 미국과의 개별 협상”이라며 “상호관세율을 낮추기 위해 주요국의 협상이 본격화될 것이고 이 과정에서 일부 국가에 대한 관세율이 다소 하향 조정될 가능성이 잠재해 있다”고 밝혔다.
국내 경제에는 상당한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봤다. 박 연구원은 “당장 자동차 등 주요 수출제품의 대미 수출이 큰 타격을 받을 것이 분명하며 베트남 생산기지를 통한 우회 대미 수출 역시 큰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2분기부터 대미 혹은 대아세안 수출 둔화 등으로 국내 성장률의 추가 둔화 압력이 높아질 것으로 보여 일부에서 언급되던 올해 0%대 성장률 가능성이 가시화되는 분위기”라며 “동시에 헌재의 탄핵 결정이 변수로 남아 있지만 달러·원 환율의 추가 상승, 즉 1500원선을 재위협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고 봤다.
이어 “국내 주식시장입장에서도 단기적으로 추가 조정 리스크에 노출될 여지가 커져 보수적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평가했다.
박 연구원은 “동시에 수출 경기 악화에 대비하여 강력한 내수 부양정책이 추진될 필요성이 한층 커졌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오늘은 미국 해방의 날로 표현했지만 글로벌 경제는 신보호무역주의 시대로 진입하는 날”이라고 평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