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가격도 효율도 주행감도 '핫'…푸조 308 하이브리드의 진가[타봤어요]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이다원 기자I 2025.06.12 06:00:01

감각적인 디자인…''사자''다운 해치백
MHEV지만 전기차같은 주행 성능 표방
모터 적극 개입…고속 안정성 ''짱짱''
전 세계서 가장 저렴…푸조, 칼 갈았네

[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푸조가 도심에서는 전기차 수준의 조용함과 부드러움을, 고속에서는 유럽 해치백 특유의 날렵한 주행 감각을 발휘해 운전의 재미를 제공하는 감각적인 차를 만들었다. 푸조 308 하이브리드가 그 주인공으로, 가격 경쟁력까지 갖춘 범상치 않은 모델이 한국 시장에 등장했다.

푸조 308 스마트 하이브리드. (사진=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푸조 308 스마트 하이브리드 모델을 타고 서울~경기 일대 고속도로와 시내 약 180㎞를 달려 봤다. 뻥 뚫린 고속 구간이 대부분이었으나, 테헤란로 부근 정체 구간도 오래 거쳤다.

겉모습은 푸조 특유의 ‘유럽 감성’ 디자인을 적용해 낯선 듯 특별하다. 사자의 송곳니를 형상화한 주간주행등과 발톱 자국을 형상화했다는 테일램프가 어울려 날렵한 인상을 준다. 전면부에는 새로운 사자 엠블럼이 적용돼 멀리서도 한 눈에 ‘푸조’ 차량임을 알 수 있다.

308 하이브리드는 해치백답게 짧은 앞뒤 차체가 매력적이지만 차 폭이 좁지는 않은 듯했다. 제원은 전장 4374㎜, 전폭 1850㎜, 전고 1465㎜ 등으로 같은 차급(준중형) 세단 대비 앞뒤 길이는 짧고 넓다. 운전석에 앉으면 누운 듯한 스포츠 버킷 시트 덕에 낮은 무게중심을 체감할 수 있고, 널찍한 실내도 만나볼 수 있다.

푸조 308 스마트 하이브리드. (사진=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푸조 308 스마트 하이브리드 1열. (사진=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푸조 308 스마트 하이브리드 2열. (사진=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실내는 푸조의 시그니처인 ‘파노라마 i-콕핏’을 적용했다. 스티어링 휠이 유독 작은데, 위로 계기판을 봐야 하는 구조다. 디지털 클러스터와 10인치 센터 디스플레이가 시각적으로 연결되는 방식을 도입해 운전자에게 편안함을 준 것은 좋았지만, 센터 디스플레이 화면 전환 시 반응 속도가 다소 느린 점은 불편했다.

308 스마트 하이브리드의 가장 큰 특징은 푸조만의 48V 하이브리드 시스템이다. 푸조는 308 스마트 하이브리드에 1.2리터 가솔린 엔진과 15.6kW 출력의 전기모터, 새롭게 개발된 6단 듀얼클러치 자동변속기를 적용했다. 일반적으로는 마일드 하이브리드(MHEV)로 분류되는 시스템이지만 푸조는 ‘전기차 같은 MHEV’를 표방하며 저속 도심 주행의 50% 이상을 순수 전기만으로 달릴 수 있도록 했다는 설명이다.

얼마나 다를까, 반신반의하며 시동을 걸고 가속 페달을 밟았다. 그러자 차량이 천천히 전기모터만으로 움직이는 느낌이 들었다. 전기차같은 부드러운 움직임이 큰길까지 이어졌다. 시내에서는 가속 페달을 가볍게 밟으면 모터가 잽싸게 반응한다. 정차했다 출발할 때는 전기차처럼 빠르게 반응하고, 어느 순간 엔진이 함께 붙어 힘을 내고 있다. 내연기관의 개입 시점을 운전자가 인지하지 못할 만큼 자연스럽다.

푸조 308 스마트 하이브리드. (사진=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고속도로에서 가속 페달을 밟으면 차의 성격이 바뀐다. 엔진과 모터가 낼 수 있는 최대 출력은 145마력이다. 추월 상황에서는 가속 응답이 전기차만큼 빠르고 끊김이 없다. 급가속 상황에서도 변속기와 모터, 엔진이 자연스럽게 연결돼 이질감 없는 가속이 가능하나, 급감속 시에는 다소 덜컥이는 느낌이 있다. 주행 모드는 크게 △에코 △노멀 △스포츠 등이 있는데, 노멀 모드에서도 시속 180㎞까지 거뜬히 올라간다.

해치백답게 굽은 도로나 차선 변경 시에도 차체 흔들림이 작아 달리는 재미를 끌어올리는 것도 장점이다. 안정적인 직진성도 매력적인 요소다. 다만 전기차보다 요란한 엔진 소음과 윙윙거리는 모터 소음이 들리는 것은 아쉽다.

회생제동으로 인한 제동 감각은 전기차보다 자연스럽다. 전체 주행 시간의 절반 이상이 전기모터 중심으로 이뤄질 정도인데, 그래서인지 주행 가능 거리가 좀처럼 줄지를 않는다. 심지어 주행 중 실시간으로 580㎞이던 주행 가능 거리가 620㎞로 치솟기도 했다. 실제 모든 주행을 마친 뒤 연비는 20.1㎞/ℓ로 공인 연비(복합 기준 15.2㎞/ℓ)를 훨씬 웃돌았다. 장거리 주행에서는 아쉬울 지 몰라도, 한 번에 80㎞가량 주행하는 수준이라면 연료 효율이 높을 수밖에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푸조 308 스마트 하이브리드. (사진=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푸조 308 스마트 하이브리드 테일게이트. (사진=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효율성과 푸조가 고집해온 주행 감성을 조화한 차다. 그럼에도 구매를 주저하는 이유는 가격일 텐데, 스텔란티스 코리아는 이를 인식한 듯 가격 경쟁력까지 발 빠르게 확보했다.

푸조 308 하이브리드는 편의 및 안전 사양에 따라 알뤼르 3990만원, GT 4650만원에 각각 판매 중이다. 프랑스, 영국 등 유럽 현지보다 저렴하게 책정된 가격인 데다 스텔란티스 코리아는 이 모델을 시작으로 위탁판매 시스템을 도입해 전국 어느 전시장에서든 가격이 동일하다.

푸조 308 스마트 하이브리드. (사진=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