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규모 군중 밀집 시 발생할 수 있는 통신 트래픽 폭증에 대비해 실시간 데이터 처리 능력을 확대하고, 주요 통신 인프라의 보호에도 만전을 기하고 있다.
현장에 투입된 통신 인프라와 인력을 보호하고, 시민들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과기정통부는 경찰청과 협력체계를 구축했다. 이동기지국 및 간이기지국 주변에는 폴리스라인 설치 및 순찰 인력 강화 등을 통해 통신설비 훼손을 방지하고 질서를 유지할 계획이다.
국민 이용률이 높은 카카오, 네이버 등 주요 디지털 플랫폼 사업자에게는 트래픽을 평시 대비 3~10배 수준까지 확보하도록 요청했으며, 실시간 모니터링도 강화하고 있다.
동시에 해킹·DDoS(분산서비스 거부) 공격 등 사이버 침해 사고에 대비한 집중 감시 체계도 가동된다.
최우혁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현장 상황반장)은 “예상되는 대규모 인원 밀집 상황에서도 통신 및 디지털 서비스 이용에 차질이 없도록 모든 자원을 투입하겠다”며 “국민이 안심하고 소통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끝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 ‘언론 매거진 라운지’에서는 탄핵심판 예상에 대한 투표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르면 472명이 투표했는데 탄핵 인용이 353명(75%), 탄핵 기각 또는 각하가 119명(25%)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