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음날 차 전 의원이 자신의 페이스북에 가정의학과 전문의인 유태우 원장의 유튜브 내용을 공유하며 “코로나 대응을 확진자 중심에서 환자 중심으로 바꾸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영상에서 유 원장은 “코로나19 1%만이 중환자가 되거나 사망하고 99%는 무증상이거나 경미한 증상일 뿐”이라며 “사망자도 중증환자도 극소수이지만 언론의 불안 조성, 강제 입원, 확진자라는 낙인의 고통으로 대중들이 코로나19에 확진에 대한 굉장한 두려움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매년 독감 환자 중 65만명(0.1%)이 사망하고 500만명(5%)이 중증환자가 된다. 이에 반해 코로나19로 인한 총 사망자가 81만명(3.4%), 중증자는 6만 1000명(1%)이다. 이는 독감의 경우 코로나19처럼 방역, 격리, 접촉차 추적, 바이러스 봉쇄 등 방역 활동을 하지 않고 중증자 치료에 집중하기 때문에 효율이 높아 사망자를 줄일 수 있는 것”이라며 확진자 전원을 강제 입원하는 것이 아니라 중증환자가 잘 치료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코로나19 환자 집계 과정에서 한때 위·중증자로 분류됐다가 상태가 호전돼 단순 격리자로 구분된 사람은 숫자에서 제외되는 등 착시 효과가 있기 때문에 안심할 수는 없다는 지적도 감염병 전문가 사이에서 나왔다.
김우주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실제 중증환자는 1%보다 훨씬 많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전체 확진자의 약 20%로 추정되는 무증상자를 제외한 유증상 확진자 가운데 15%가 중증, 5%가 위중한 환자”라며 유증상 확진자 중 20%를 위·중증 환자(위·중증을 앓은 뒤 회복된 사람 포함)로 추산한다고 1일 연합뉴스에 말했다.
한편, 차 전 의원은 퇴원을 앞두고 “문재인 정권은 아직 광화문 집회 현장에서 균이 오고 간 증거를 하나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며 “그냥 그들이 장악하고 있는 언론을 이용해 ‘광화문 집회=코로나 확산 진앙지’라는 가짜뉴스를 반복적이고 일방적으로 유포하고 있을 뿐”이라고 주장했다.
또 “코로나를 이용해 정치적 목적을 이루려는 자들이 질본(질병관리본부)의 애매한 발표를 자기식으로 왜곡 해석하도록 방치했다”면서 “퇴원을 하면 이 문제를 집중적으로 추적할 것”이라며 “‘광화문 집회는 광화문 코로나의 아버지가 아니다’라고 질본이 지금이라도 양심선언을 해야 한다”라고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