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예상보다 높은 ‘상호관세 충격’…환율 1470원대 고점 탐색[외환브리핑]

이정윤 기자I 2025.04.03 08:36:58

역외 1467.5원…3.4원 상승 출발 전망
새벽 2시 마감가 1462.5원
한국 25% 관세…유럽·일본보다 높아
美침체 우려에 약달러, 위험회피 고조

[이데일리 이정윤 기자] 원·달러 환율은 1470원대로 다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의 상호관세가 한국을 상대로 예상보다 높은 수준으로 책정됐다. 이에 위험회피 분위기가 커지면서 위험통화인 원화에 약세, 국내증시에선 외국인 자금 이탈이 지속되며 환율은 상승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차트를 들고 상호 관세 부과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AFP연합뉴스)
3일 서울외국환중개에 따르면 간밤 뉴욕차액결제선물환(NDF) 시장에서 거래된 원·달러 1개월물은 1467.5원에 최종 호가됐다. 최근 1개월물 스와프 포인트(-2.50원)를 고려하면 이날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1466.6원, 오후 3시 30분 기준) 대비 3.4원 상승 개장할 것으로 보인다.

이날 새벽 2시 마감가는 1462.5원이다. 전날 오후 3시 30분 기준(1466.6원)보다는 4.1원 내렸다.

미국 정부는 2일(현지시간) 한국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제품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다른 나라의 관세 및 비관세 무역장벽에 따라 미국 기업이 받는 차별을 해소한다는 명목의 이번 상호관세는 기본관세(5일 시행)와 이른바 ‘최악 국가’에 대한 개별 관세(9일 시행)로 구성돼 있다.

국가별 상호 관세율은 △한국 25% △중국 34% △유럽연합(EU) 20% △일본 24% △베트남 46% △대만 32% △인도 26% 등이다.

또 △태국에는 36% △스위스 31% △인도네시아 32% △말레이시아 24% △캄보디아 49% △영국 10% △남아프리카공화국 30% 등이 적용된다.

수출 중심의 경제체제인 한국은 일본(24%), 유럽연합(20%) 등보다 높은 상호관세율이 적용됨에 따라 미국 시장에서 주요 경쟁 상대인 이들 국가 업체들보다 불리한 여건에서 경쟁을 벌이게 됐다.

미국의 민간 기업의 고용이 탄탄하다는 지표가 발표됐지만, 시장에 깔린 미국 경기침체 우려를 덮기에는 부족했다. 오토매틱데이터프로세싱(ADP) 전미 고용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3월 민간 고용은 전달보다 15만 5000명 증가했다. 시장 전망치 10만 5000명을 크게 웃도는 규모다.

달러화는 관세 부과에 따른 미국의 경기침체 우려에 하락했다. 달러인덱스는 2일(현지시간) 오후 7시 24분 기준 103.42를 기록하고 있다. 전날 104를 상회한 것에서 하락한 것이다.

EU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조치에 대응해 경제적 지원방안이 담긴 ‘비상 계획’을 준비하고 있다는 소식에 유로화는 강세를 나타냈으나, 이후 관세율이 발표되면서 소폭 되돌림을 나타냈다. 유로·달러 환율은 1.0872달러로 소폭 오름세다.

중국은 30% 넘는 높은 관세로 인해 달러·위안 환율은 7.33위안까지 치솟으면서 급격히 위안화 약세를 나타내고 있다. 달러·엔 환율은 148엔대로,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유입되며 엔화는 강세다.

달러 약세에도 불구하고 상호관세로 인한 위험회피 심리가 더 크게 작용하면서 위험통화인 원화 약세, 환율 상승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에 맞서 다른 나라들도 고강도 대응 의지를 보이고 있는 만큼, 한국의 후속 조치에 따라 환율도 움직일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1470원대에서는 외환당국의 개입과 국민연금의 환 헤지 물량이 나오면서 상승 속도를 조절할 것으로 관측된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