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와 서울시 교육청은 ‘2015 서울형 혁신교육지구 공모’를 심사해 혁신지구형 7곳(강북·관악·구로·금천·노원·도봉·은평구)과 우선지구형 4곳(강동·동작·서대문·종로) 등 모두 11곳을 선정했다고 26일 밝혔다.
양 기관은 자치구의 교육 여건과 의지(40%), 사업 계획서(45%), 발표 및 면접(15%) 등 3단계의 심시과정을 거쳐 11곳을 뽑았다. 심사위원은 전원 외부에서 위촉했다.
선정된 자치구는 내년까지 2년간 서울형 혁신교육지구로 지정·운영된다. 혁신지구형에는 자치구 별로 매년 20억원(서울시·시교육청 각각 7억5000만원, 자치구 5억원)이, 우선지구형에는 매년 3억원(서울시)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혁신지구형은 7곳은 사업비를 기반으로 △학급당 학생 25명 이하 감축 사업 △학교·마을 연계 방과후 사업 △일반고 진로·직업교육 지원 사업 등의 4개 필수사업과 자치구별 특화사업을 실시한다.
우선지구형은 민관 거버넌스(지역 교육공동체) 구축사업, 학생의 자기주도적 프로젝트 사업 등 2개의 필수사업과 자치구 특화사업을 진행하게 된다.
개별 운영됐던 서울시의 ‘교육우선지구’와 서울교육청의 ‘혁신교육지구’를 통합한 이번 혁신교육지구 공모에서는 시내 25개 자치구 중 22곳이 응모하면서 치열한 경쟁이 벌어졌다. 혁신지구형은 2.1대 1(7곳 선정에 15곳 지원), 우선지구형에는 4.81대 1(4곳 선정에 19곳 지원)의 경쟁률을 각각 기록했다.
시교육청은 공모에서 탈락한 자치구 중에서 희망할 경우 ‘예비 서울형 혁신교육지구’로 지정, 행정지원과 관련 사업 추진 시 우선지원의 혜택을 줄 예정이다. 2016년 공모 시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서울시교육청은 “서울시·서울시의회와 긴밀히 협조해 혁신교육지구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내년에도 추가지정을 위한 공모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