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앙일보가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국갤럽에 의뢰해 지난 3~4일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1006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활용한 전화 면접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 후보는 50%에 가까운 지지율을 획득했다.
이재명 후보는 한덕수 무소속 후보(36%),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6%)와의 가상 3자 대결에서 49%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33%), 이준석 후보(9%)와의 대결에서도 지지율은 49%로 나타났다. 한 후보, 김 후보와의 격차는 각각 13%포인트, 16%포인트로 오차범위(±3.1%포인트) 밖이다.
이준석 후보까지 빅텐트에 참여한다고 가정하면 이재명 후보의 지지율은 더 높아졌다. 한덕수 후보(41%)와 대결 시 51%를 기록하며 격차는 10%포인트, 김문수 후보(39%)와 대결 시 52%를 나타내며 격차는 13%포인트, 이준석 후보(29%)로 대결 시 격차는 22%포인트로 벌어졌다.
이재명 후보는 가상 4자 대결에서도 독주를 이어갔다. 한덕수 무소속 후보(23%), 김문수 후보(13%), 이준석 후보(4%)와 대결할 경우 47%의 지지를 얻었다.
이번 조사는 지난 3일 국민의힘 경선에서 김문수 후보가 선출된 후 이틀간 실시됐다. 이재명 후보는 지난 1일 공직선거법 사건에 대한 대법원의 유죄 취지 파기 환송에도 불구하고 지지율에 큰 변화가 없었다. 이 후보의 대통령 선호도는 36%(1월), 42%(4월), 47%(5월)로 상승했으며, 특히 중도층 지지율은 36%(1월), 43%(4월), 55%(5월)로 치솟았다.
어느 정당 후보가 당선되기를 바라느냐는 질문에도 ‘민주당 후보 당선’ 45%, ‘국민의힘 후보 당선’ 31%로 격차는 14%포인트 나타났다. 지난 4월 조사와 비슷한 수치다.
6·3 대선 투표 의향을 물은 결과 ‘반드시 할 것’ 85%, ‘아마 할 것’ 10%로 95%가 투표 참여 의사를 밝혔다. 다만 여론조사 응답자는 정치 관심도가 높기 때문에 실제 투표율은 이보다 낮을 것으로 관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