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룸버그 통신은 9일(현지시간) “홍콩 달러 페그제는 더는 의미가 없다”라는 제목의 오피니언 기사를 통해 “홍콩이 다시 한 번 화폐 정책의 유연성을 되찾아야 할 시점”이라고 주장했다. 기사를 쓴 슈리 렌 칼럼리스트는 투자은행 출신으로 CFA 자격증을 보유한 시장 전문 기자이다.
기사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매파적인 태도를 보이면서 달러 자금 조달 비용이 급등할 때마다 홍콩이 달러 페그제를 유지해야 하느냐에 대한 논쟁이 점화됐다”면서 최근 상황은 이같은 논쟁에 더욱 부채질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달러 페그제로 금융허브로서 홍콩 매력 떨어져”
|
문제는 미국의 금리가 치솟는 반면, 중국의 금리는 하락하면서 현실과 제도의 격차가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관세와 감세를 내세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귀환을 앞두고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5%에 근접하고 있지만 디플레이션 위기를 코앞에 두고 있는 중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지난주 1.6%에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스탠다드차타드(SC) 분석가들은 중국 10년물 국채 금리가 2025년 말까지 0.2%포인트 더 떨어진 1.4%까지 하락할 수 있다고 봤다.
이런 상황에서 블룸버그 기사는 “달러에 고정된 페그제 때문에 아시아 금융 허브로서 홍콩의 매력이 더욱 떨어지고 있다”고 봤다. 홍콩 히보(HIBOR·홍콩 은행간 대출금리)는 미국 금리에 고정돼 있지는 않지만, 홍콩달러의 가치를 달러에 고정된 탓에 연방기금금리(미국 은행간 초단기 대출금리·연준의 정책 목표)에 연동한다. 이 때문에 홍콩에서 자금을 조달하는 것보다 중국에서 자금을 조달하는 것이 훨씬 더 저렴한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홍콩의 대표적 부동산 개발 기업인 뉴월드디벨롭먼트는 이자 비용을 낮추기 위해 본토 위안화 차입을 대폭 확대하고 있다. 이 회사는 지난 8월 3.1% 금리로 12년 만기 위안화 대출을 확보했다고 발표했다. 반면 홍콩의 주요 대출 금리는 히보에 1.1%포인트를 더한 약 5.2%였다.
높아진 금리는 홍콩 부동산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홍콩의 3조달러 규모의 주택시장은 4년째 하락 중이지만, 높아진 금리로 주택 수요자들은 대출을 통해 내 집 마련을 할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다. 심지어 홍콩의 신규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중국 선전보다 높아지는 상황까지 벌어졌다.
|
◇HKMA “변경 의사, 필요성도 없어”
홍콩 정책 결정자들은 홍콩 달러 페그제는 현재도 유효하다며 제도 변경 가능성에 강력히 선을 긋고 있다. 에디 유 와이만 HKMA CEO는 9일(홍콩시간) 웹사이트에 “위험 관리는 중요하지만 근거 없는 우려에 흔들려서는 안 된다”며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우리는 연계 환율제도(LERS·홍콩 달러 페그제)를 변경할 의사도, 필요성도 느끼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LERS에 대한 관심과 잠재적 지정학적 충격에 대한 추측에도 불구하고 홍콩 달러 시장은 여전히 LERS 설계에 따라 원활하게 운영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유 CEO는 홍콩 달러 페그제로 홍콩 달러의 가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작고 개방된 경제이자 주요 국제 금융 중심지로서 환율 안정성은 홍콩에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해 자유변동 환율통화를 채택한 국가들의 통화가 미국 달러 대비 상당히 하락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블룸버그 기사는 현재 홍콩달러가 미국 달러 대비 강세를 보이고 있어 홍콩 통화당국은 정책의 시급성을 느끼지 못하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홍콩정부가 4조 홍콩달러(약 5159억달러)의 외환보유고 있어 달러 페그제를 유지하기 위한 충분한 자산을 확보하고 있다는 점도 인정했다.
그러나 기사는 “중요한 것은 능력이 아니라 적합성”이라며 “저금리 자금이 미국에서 중국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금융 허브가 고정된 화폐제도를 유지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다. 정책 결정자들은 비공식적이라도 달러 페그제를 질서있게 개편할 준비를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