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외에 자동차, 전자전기, 기계금속, 기초화학 6개 분야 중소·중견기업이 개발한 시제품을 대기업 등 수요기업의 실제 생산라인에서 평가해 신뢰·양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게 목표다. 기술을 개발해 놓고도 공급할 곳을 찾지 못해 양산을 포기하는 사업 단절(Death Valley)를 최소화하자는 취지다.
정부는 2019년 반도체 제조 공정에 필요한 핵심 소재에 대한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 조치 이후 핵심 산업에 필요한 소부장의 국산화를 추진해 왔다. 이 사업도 그해 추경사업을 시작으로 매년 확대해 왔다. 2019년엔 130개 과제에 350억원, 2020년엔 132개 과제에 400억원, 2021년엔 137개 과제에 400억원씩 총 399개 과제에 1150억원을 지원해 왔다.
삼성전자와 LG디스플레이 등 이 사업에 참여하는 수요 대기업 숫자도 2019년 12곳에서 지난해 85곳으로 늘었다.
올해는 지원액을 470억원으로 지난해보다 70억원 늘렸다. 이에 맞춰 양산성능평가 과제당 지원액도 최대 2억원에서 3억원으로 늘렸다. 최근 원자재·재료비 가격 상승을 반영한 것이다. 특히 양산성능평가 과정에서 성능개선 과제가 발생할 경우 2억원을 추가 지원키로 했다.
과제 참가 희망 기업은 공고 내용을 확인한 후 공고기간 내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과제관리시스템을 통해 신청하면 된다. KIAT는 5월 평가과정을 거쳐 7월부터 1년 동안 선정 과제수행 및 성과점검을 진행할 계획이다.
선정 과정에서 경량화·고효율 등 저탄소 관련 품목, 공급망 안정화 품목인지 여부를 고려한다. 성능개선 과제를 선정할 땐 수요기업의 구매동의서 제출 시 우대할 계획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국내 소부장 기업이 기술개발을 적극 추진하고 최종 사업화 단계까지 원활히 연계하도록 지원할 것”이라며 “이 사업을 통해 우리 기업이 글로벌 공급망을 주도하는 소부장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