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 의원은 22일 자신의 페이스북 페이지에서 강 비서관에 대해 “대통령께 누를 끼치지말고 스스로 결단하라”며 “자퇴하라”는 글을 올렸다. 박 의원도 페이스북 페이지에 “강준욱 비서관이 과거 책과 발언을 통해 보인 인식은 결코 가볍게 넘길 수 있는 수준이 아니다”며 “이재명 정부의 성공을 위해 강준욱 비서관의 결단을 촉구한다. 대통령의 국정철학과 진심이 훼손되지 않도록 책임 있는 선택을 기대한다”고 썼다.
강 비서관은 올 초 자신의 책에서 “계엄 선포를 내란으로 몰아가는 행위는 선동”이라며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를 옹호했다. 그는 이 책에서 “사법부에 저항해 유리창을 깨고 법원에 난입한 것이 폭도이고 전원 구속될 일이라면, 5·18은 버스로 공권력을 뭉개고 총 들고 싸운 일이므로 폭도라는 말로도 모자란다”며 윤석열 전 대통령 구속에 항의한 폭도들의 서울서부지방법원 난입을 옹호하고 5·18 민주화운동을 비하했다. 또한 최저임금법에 대해서도 “노동자의 탐욕”, “하위 노동자들에 대한 상위 노동자들의 약탈”이라고 폄훼했다.
대통령실은 논란의 추이를 주시하고 있다.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이진숙 전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이어 인사 검증 실패라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전날 “본인이 많은 국민들을 설득할 수 있는 그리고 이해할 수 있는 해명을 해야 되는 건 임명을 받은 자의 역할이고 의무라고 본다”고 말했다. 권 비서관은 자신을 둘러싼 논란에 대해 “수개월간 계엄으로 고통을 겪으신 국민께 제가 펴낸 책의 내용과 표현으로 깊은 상처를 드렸다”며 “어떠한 변명으로도 국민께 끼친 상처와 불편은 해소되기 어려울 것으로 생각한다”고 사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