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김미경 기자] “내가 아는 한 시인은 꽃이 피는 걸 ‘핀다’라고 안하고 ‘목숨을 터뜨린다’라고 했어. 근사하지?” “멜로영화 예고편을 볼 때, 무한도전 같은 예능에서 재미있는 애드립 치는 진행자를 볼 때, 동네 구멍가게 무뚝뚝한 주인 아저씨가 8시 드라마를 보면서 울 때, 여러 가지 색깔이 뒤섞인 저녁 구름, 버스에서 시끄럽게 떠드는 여자애들, (…중략) 와, 많다. 그치? 내 주위를 둘러싼 모든 것들이 나를 두근대게 해.”
김애란(35)의 첫 장편소설 ‘두근두근 내 인생’ 속 명문장이 동명의 연극으로 되살아났다. 2011년 출간한 소설은 50만부 넘게 팔린 베스트셀러로 대수·미라가 열일곱 살에 낳은 조로증에 걸린 아들 아름이의 삶과 사랑에 관한 이야기다. 지난해에는 강동원·송혜교 주연 영화로도 만들어졌다.
|
추 연출은 “처음 소설을 읽으면서 가장 좋았던 건 아름이가 친구와 편지를 주고 받는 대목”이었다며 “소설 속 주옥 같은 문장을 가능한 한 안 바꾸려 했다. 가장 공들인 장면”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메일을 주고받으면서 서로를 알아가고 가슴이 두근거리는 모습에서 깊이 공감했다”며 “아름이가 편지를 받고 설레는 장면이라든가, 손 사진 장면 등은 배우·스태프와 수차례 회의를 거쳐 합심해 만들었다”고 덧붙였다.
추 연출은 “흔히 죽고 싶은 순간에 대해 많이 얘기하는데 작품은 살고 싶은 순간을 묻는다”며 “연극을 보고 돌아가면서 나를 두근거리게 했던 좋은 순간을 떠올리며 ‘살고 싶다’란 생각을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조로증으로 팔십 노인의 몸을 가진 17세 소년 아름 역은 43세의 오용과 34세 정문성이 맡았다. 오는 5월 25일까지 서울 대학로 유니플렉스 2관. 1644-1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