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말과 사회 관계를 천착해 온 일본의 문학 연구가 아라이 유키는 최근 펴낸 책 ‘말에 구원받는다는 것’(ㅁ·미음)에서 혐오와 차별을 부추기는 파괴된 말의 위험성을 이렇게 경고한다.
아라이에 따르면 ‘달콤한 보너스’라는 의미의 ‘시럽급여’는 파괴된 말의 전형이다. 이달 중순 열린 실업급여(구직급여) 제도 개선 민당정 공청회에서 고용노동부 담당 공무원이 꺼낸 문제적 발언이 ‘시럽급여’라는 조롱의 단어로 재탄생했다. 이 담당자는 “여자분들, 젊은 청년들은 계약기간이 만료된 이 기회에 쉬겠다고 온다. 실업급여를 받아 해외여행을 가고 평소 자기 돈으로 살 수 없었던 샤넬 선글라스를 사는 식으로 즐기고 있다”고 주장했다. 박대출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이날 “실업급여 하한액을 낮추거나 폐지하는 방안을 포함해 근본적인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방향에 공감했다”며 실업급여의 대대적 손질을 예고했다. ‘시럽급여’를 증명할 실증적 근거 없이 이 단어는 이제 정부 여당의 실업급여 정책 변경의 상징이 된 것이다.
여기 두 개의 반론이 있다. 국제노동기구(ILO) 이상헌 고용정책국장은 ‘같이 가면 길이 된다’(생각의힘)라는 책에서 빈곤 연구가 아비지트 배너지 연구팀의 연구 사례를 소개한다. 연구팀은 소득 지원이 저소득층의 노동 의욕을 줄이는지 분석했는데, 결론은 한마디로 “게으른 복지수급자라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라”였다는 게 이 국장의 얘기다. 지원금을 술값과 담뱃값으로 다 썼다는 흔한 주장도 사실무근이라는 것이 연구를 통해 밝혀졌고, 오히려 빈곤 퇴치와 불평등 축소에 도움이 됐다는 것이다. 그는 이 사례를 통해 오늘의 정치가 99명을 제쳐두고 1명의 일탈 사례만 들여다본다며 실증적 연구 기반의 정책을 강조한다. 실업급여는 누구에게나 그의 존엄성을 지켜주는 수단이면서, 정당한 권리의 요구라는 결론이다.
소설가 김애란은 첫 산문집 ‘잊기 좋은 이름’(열림원)에서 유년시절 손칼국숫집을 운영하던 어머니의 모습을 이렇게 기억한다. “점심때면 수많은 손님과 그들이 몰고 온 ‘이야기’가 밀물처럼 들어왔다 썰물처럼 빠져나갔다. (중략) 그곳에서 나는 여러 계층과 계급, 세대를 아우르는 인간 군상과 공평한 허기를 봤다. 요리가 미덕이고 의무이기 전에 노동인 걸 배웠고, 동시에 경제권을 쥔 여자의 얼굴이 긍지로 빛나는 것 또한 봤다”고 썼다. 그러면서 소설가는 “그렇다고 어머니가 당시 번 돈을 모두 생활에 쏟아 부은 건 아니다. 방문판매원이 가져온 아름다운 화장품 병을 유심히 살펴보던 어머니의 젊은 옆얼굴이며, (중략) ‘비전 냄비’나 ‘코끼리 보온도시락’을 비롯해 특이한 그릇과 카펫을 주문하던 모습을 기억한다. 나는 우리 삶에 생존만 있는 게 아니라 사치와 허영과 아름다움이 깃드는 게 좋았다”고 전한다.
삶이란 그런 것이다. 언어는 사회를 닮고, 말도 흙처럼 퇴적되어 우리가 사는 세계를 증명한다. 우리의 숭고한 노동이 ‘시럽급여’라는 장난 섞인 단어 하나로 파괴될 수 없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