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는 자동차 산업에서 순환경제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경우, 폐기물 관리업체, 재활용업체 및 해체업체는 새로운 가치 풀(Value Pool)에서 더 높은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팬데믹 이후 친환경 규제와 지정학적 갈등으로 철강스크랩(고철) 가격이 급격히 상승했으며, 이로 인해 철강스크랩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수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OEM 기업은 사용 종료 차량(ELV) 부품을 재활용해 원자재 비용을 절감하고, 고품질 재활용 소재를 활용함으로써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친환경 정책을 선호하는 소비자 트렌드에 맞춰 지속가능한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기회도 가질 수 있다.
전용욱 삼일PwC 모빌리티 산업전담팀 파트너는 “이번 보고서는 자동차 순환경제의 주요 개념을 정리하고, 자동차 부품의 재활용 및 재사용을 촉진할 수 있는 전략적 기준점을 제시했다”며 “OEM 및 자동차 산업 관계자는 보고서를 통해 ELV 회수 및 재활용 프로세스를 최적화하고, 새로운 시장 기회를 탐색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