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정규직은 올해 들어 부쩍 늘어났다. 매년 8월 기준으로 비정규직 규모를 측정하는 통계청 조사 결과에 따르면 비정규직은 2019년에는 748만 1000명, 2020년 742만 6000명을 기록했다가 올해는 800만명을 훌쩍 뛰어넘었다. 이는 2003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대 규모다.
이렇게 비정규직이 늘어난 것은 코로나 여파로 정규직에서 밀려나 비정규직이 된 경우가 많았끼 때문이다. 특히 올해 7월초 시작된 코로나 4차 대유행과 잇따른 방역 강화가 고용 악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다.
김경희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운수창고업, 도소매업의 비정규직 증가에 코로나 여파가 있다”고 설명했다. 운수창고업, 도소매업에서는 비정규직이 총 6만 4000명 늘었다. 정규직 직장에서 밀려난 뒤 택배·슈퍼 비정규직이 되는 경우가 많아진 것이다.
정부가 고령층 대상으로 단시간 공공일자리를 늘린 것도 비정규직 증가에 영향을 끼쳤다. 비정규직은 60세 이상에서 27만명, 50대 이상에서 12만 5000명이 증가했다. 산업별로는 보건업및사회복지서비스업에서 22만 8000명, 직업별로는 단순노무종사가가 22만 1000명 늘었다.
‘임금 양극화’는 더 심해졌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임금 격차는 156만 7000원으로 2003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대 수준이었다. 비정규직의 최근 3개월(올해 6~8월) 평균 급여는 176만 9000원으로 정규직(333만 6000원)의 절반 수준이었다.
‘보너스(상여금)’ 격차도 커졌다. 정규직의 상여금 수혜율은 86.7%로 0.1%포인트 상승했다. 반면 비정규직의 상여금 수혜율은 35.7%로 1.9%포인트 하락했다. 삼성전자(005930) 등 대기업, 네이버(035420) 등 플랫폼 기업은 코로나 특수로 보너스를 받은 반면, 비정규직은 코로나 직격탄을 맞은 셈이다.
이차웅 기획재정부 정책기획과장은 “코로나19 고용 충격, 고용·산업구조의 빠른 변화 등에 따라 비정규직이 증가했다”며 “전 국민 고용보험 로드맵, 산재보험 적용 대상 확대 등 고용·사회안전망 강화 노력을 지속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권순우 한국자영업연구원장은 “급격한 경기침체 후에 회복 과정이 양극화되면서 불평등이 확대되는 K-불평등 양상”이라며 “정규직 임금노동 시장의 높은 장벽을 낮춰 노동시장 간 이동이 활발해지도록 하고, 전 국민이 아니라 코로나 피해 부문에 집중 지원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