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는 오는 8월 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브루클린 바클레이스 센터(Barclays Center)에서 올 하반기 전략스마트폰 갤럭시노트10을 공개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삼성의 부품계열사들은 갤럭시노트10에 들어갈 OLED 패널과 배터리, 카메라모듈 등을 생산해 공급을 이어나가고 있다. 그러나 제품 출시 직전에 불거진 일본의 수출 제재로 각 계열사가 비상 체제에 돌입한 상태다. 특히 일본이 오는 24일까지 의견수렴을 거쳐 한국을 화이트리스트(백색국가·전략물자 절차 간소화 대상국) 제외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통관 기간이 90일로 연장될 것에 대비한 재고 확보에 전사적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갤럭시노트10에 탑재될 OLED패널을 대부분 생산하고 있다. 중소형 OLED패널의 경우 삼성디스플레이의 세계 시장 점유율이 90% 안팎이라 추가적인 공급선을 늘리긴 어렵다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일본의 수출 규제 품목 중 폴루오린 폴리이미드와 에칭가스(고순도 불화수소) 등은 OLED패널 제작에 쓰인다. 또 유기물 증착 장비와 증착용 마스크 등도 일본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있다.
디스플레이 업계 관계자는 “삼성디스플레이도 제재 초기부터 상황을 계속 체크하고 있지만 OLED는 소재와 증착 장비 등에서 일본 외 대체재를 찾기 어렵다”며 “갤럭시노트10에 들어가는 패널이 당장 생산 차질을 빚진 않겠지만 제재가 장기화되면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삼성SDI는 스마트폰용 배터리에 쓰이는 소재 중 핵심인 양·음극제 등은 국산화 대부분 이뤄져 있지만, 배터리 분리막은 일본의 아사히카세이와 도레이가 세계 1·2위로 시장 지배력이 높다. 배터리업계 관계자는 이에 대해 “스마트폰용 배터리는 일본산 소재의 비중이 10% 이하로 파악하고 있다”며 “배터리 분리막의 경우 SK이노베이션(096770)도 생산하고 중국 업체 등으로 다변화가 돼 있어 당장 문제가 되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갤럭시노트10에 카메라모듈을 공급하는 삼성전기는 이미지센서를 이 분야 세계 1위인 소니로부터 상당 부분 공급받고 있다. 그러나 삼성전자도 이미지센서에선 세계 2위 업체라 물량 확보에는 어려움이 없을 것이란 게 업계의 설명이다.
전자업계에선 소재·부품의 재고 확보 기간이 기존 5~14일 수준에서 90일로 대폭 늘어나면, 신제품 출시 지연 및 제품 가격 경쟁력 등에 악영향을 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90일분 부품 재고를 확보하는 것은 리스크 관리 부담 확대 뿐 아니라 실시간으로 흐름이 변하는 전자·IT산업에서 완제품을 공급 속도를 결정하는 소재·부품 리드 타임(조달 기간)이 길어지는 것”이라며 “2004년 이후 기업이 구축해온 SCM(공급망 관리) 시스템이 모조리 15년 전으로 후퇴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